![]() 카테고리
이글루 파인더
Twitter
라이프로그
![]() DT 3 : 더 빨리, 더 높이, 더 힘차게 ![]() 예술가처럼 자아를 확장하는 법 ![]() 모마 하이라이트 ![]() 공예와 문화 - 2001.겨울 ![]() 이것이 현대적 미술 ![]() DT. 2 ![]() 크레이지 아트, 메이드 ... ![]() 디자인과 범죄 그리고 그... ![]() D.T. 1 ![]() 디자인 텍스트 02 ![]() 디자인 텍스트 01 최근 등록된 덧글
https://blog.naver.co..
by Mikka_L at 03/19 目利き에서 파생된 것이.. by Mikka_L at 03/10 https://www.artforum... by Mikka_L at 03/01 https://www.artforum... by Mikka_L at 03/01 https://www.moma.org.. by Mikka_L at 03/01 https://www.artforum... by Mikka_L at 03/01 https://www.artforum... by Mikka_L at 03/01 구리와 구리 광산은 칠레.. by Mikka_L at 02/25 삭제된 분에게: 이름 표기.. by Mikka_L at 02/21 제가 감사합니다. ^o^ by Mikka_L at 01/21 덕분에 에이미 실먼의 인.. by dpk at 01/18 앗 수정했습니다. 수요일.. by Mikka_L at 12/28 수업 요일이 블로그와 .. by Rumi at 12/28 사태 파악도 못하고 유의.. by Mikka_L at 12/02 결론은... 그냥 망했음... by Mikka_L at 12/02 감사합니다! 화이팅! 입니다! by Mikka_L at 11/25 병행해보고자 생각하고 .. by Mikka_L at 06/03 줌zoom 활용 진행은 안.. by 꿈돌이 at 06/02 줌 강의 병행으로 결정됐.. by Mikka_L at 05/03 오프라인 강의만 진행 되.. by Nas at 05/03 최근 등록된 트랙백
[메모] 무제
by 임근준(이정우) | leftov.. {DT3: 더 빨리, 더 높이.. by noomik ..... by 770 [임근준의 20·21세기 미술.. by Sarah lee 배순훈 미술관장 by 한지니, Contemporary .. 포토로그
이전블로그
2023년 12월
2023년 03월 2023년 02월 2023년 01월 2022년 12월 2022년 11월 2022년 10월 2022년 09월 2022년 08월 2022년 07월 2022년 06월 2022년 05월 2022년 04월 2022년 03월 2022년 02월 2022년 01월 2021년 12월 2021년 11월 2021년 10월 2021년 09월 2021년 08월 2021년 07월 2021년 06월 2021년 05월 2021년 04월 2021년 03월 2021년 02월 2021년 01월 2020년 12월 2020년 11월 2020년 10월 2020년 09월 2020년 08월 2020년 07월 2020년 06월 2020년 05월 2020년 04월 2020년 03월 2020년 02월 2020년 01월 2019년 12월 2019년 11월 2019년 10월 2019년 09월 2019년 08월 2019년 07월 2019년 06월 2019년 05월 2019년 04월 2019년 03월 2019년 02월 2019년 01월 2018년 12월 2018년 11월 2018년 10월 2018년 09월 2018년 08월 2018년 07월 2018년 06월 2018년 05월 2018년 04월 2018년 03월 2018년 02월 2018년 01월 2017년 12월 2017년 11월 2017년 10월 2017년 09월 2017년 08월 2017년 07월 2017년 06월 2017년 05월 2017년 04월 2017년 03월 2017년 02월 2017년 01월 2016년 12월 2016년 11월 2016년 10월 2016년 09월 2016년 08월 2016년 07월 2016년 06월 2016년 05월 2016년 04월 2016년 03월 2016년 02월 2016년 01월 2015년 12월 2015년 11월 2015년 10월 2015년 09월 2015년 08월 2015년 07월 2015년 06월 2015년 05월 2015년 04월 2015년 03월 2015년 02월 2015년 01월 2014년 12월 2014년 11월 2014년 09월 2014년 08월 2014년 07월 2014년 06월 2014년 05월 2014년 04월 2014년 03월 2014년 02월 2014년 01월 2013년 12월 2013년 11월 2013년 10월 2013년 09월 2013년 08월 2013년 07월 2013년 06월 2013년 05월 2013년 04월 2013년 03월 2013년 02월 2013년 01월 2012년 12월 2012년 11월 2012년 10월 2012년 09월 2012년 08월 2012년 07월 2012년 06월 2012년 05월 2012년 04월 2012년 03월 2012년 02월 2012년 01월 2011년 12월 2011년 11월 2011년 10월 2011년 09월 2011년 08월 2011년 07월 2011년 06월 2011년 05월 2011년 04월 2011년 03월 2011년 02월 2011년 01월 2010년 12월 2010년 11월 2010년 10월 2010년 09월 2010년 08월 2010년 07월 2010년 06월 2010년 05월 2010년 04월 2010년 03월 2010년 02월 2010년 01월 2009년 12월 2009년 11월 2009년 10월 2009년 09월 2009년 08월 2009년 07월 2009년 06월 2009년 05월 2009년 04월 2009년 03월 2009년 02월 2009년 01월 2008년 12월 2008년 11월 2008년 10월 2008년 09월 2008년 08월 2008년 07월 2008년 06월 2008년 05월 2008년 04월 2008년 03월 2008년 02월 2008년 01월 2007년 12월 2007년 11월 2007년 10월 2007년 09월 2007년 08월 2007년 07월 2007년 06월 2007년 05월 2007년 04월 2007년 03월 2007년 02월 2007년 01월 2006년 12월 2006년 11월 2006년 10월 2006년 09월 2006년 08월 2006년 07월 2006년 06월 2006년 05월 2006년 04월 2006년 03월 2006년 02월 2006년 01월 2005년 12월 2005년 11월 2005년 10월 2005년 09월 2005년 08월 2005년 07월 2005년 06월 2005년 05월 2005년 04월 2005년 03월 2005년 02월 2005년 01월 2004년 12월 2004년 11월 2004년 10월 2004년 09월 2004년 08월 2004년 07월 2004년 06월 2004년 05월 2004년 04월 2004년 03월 2004년 02월 2004년 01월 2003년 08월 2002년 04월 2001년 01월 2000년 11월 2000년 10월 2000년 01월 1998년 09월 1997년 09월 |
2009년 06월 24일
_ "[주간한국] 커버스토리: 1988년 이후 대한민국에서 태어난 이들의 세대적 의미"
1988년 이후 대한민국에서 태어난 이들의 세대적 의미 임근준(이정우) 미술․디자인 평론가1) _ 2009년, 한국의 10대 10대는 언제고 별종 취급을 받는다. 하지만, 어떤 시대의 10대는 특별한 주목을 받으며, 독특한 세대 정체화에 성공한다. 예컨대 미국의 베이비부머 세대가 그랬다. 존재하지 않던 ‘10대 소비문화’를 창출하며 사회의 문젯거리로 떠올랐던 그들은 대학에서 히피 문화와 신좌파 이념 등에 경도됐고, 1968년 학생혁명을 직․간접적으로 경험했다. 나이를 먹어가며 각 분야에서 ‘최초’라는 수식어를 독차지한 것도 바로 이들이다. 1947년생인 미 국무장관 힐러리 로댐 클린턴의 인생을 보면 그 혜택을 분명히 알 수 있다. 전전의 기성체제를 부정하며 사회의 변혁을 부르짖던 이들은 1980년대에 주류 사회에 편입되기 시작, 1990년대엔 사회의 중심 권력으로 떠올랐다. 그리고 보란 듯 호시절을 구가하더니 이제 떼로 은퇴하기 시작, 곧 미국 사회의 연금을 고갈시키고 사회보장제도 자체를 파괴할 참이다. 자, 그렇다면 현재 한국의 10대가 그에 비견할 파괴력을 가질 수 있을까? 답은 ‘아니오’다. 하지만, 이 새로운 세대는, 최소한 바로 앞의 소위 “88만원 세대”(1970년대 중반-1980년대 중반 태생)보다는 강한 세대 정치력을 가질 것으로 뵌다. 왜일까? 차근차근 따져보자. _ 고찰: 세대의 문제 ‘세대’가 학술적으로 연구된 시초는, 카알 만하임(Karl Mannheim, 1893-1947)이 “세대들의 문제(Das Problemder Generationen)”라는 논문2)에서 1차 세계대전 이후에 나타난 전 유럽적인 세대갈등의 양상을 분석한 것이라고 한다. 당시 고찰된 세대전쟁(Generationenkampf)의 양상은 유전을 거듭하며 세상을 변화시켰고, 이제 세대라는 사회학적 개념은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두루뭉술한 단어가 됐다. 그럼에도 세대현상은 여전히 역사의 동학을 구현하는 주요한 요소 가운데 하나고, 또한 새로운 세대는 새로운 문화의 담지자이기 때문에 세대를 통해 사회를 바라보는 일은 꽤 유용하다. 세대는 가족/교육/사회의 차원에서 나눠 고찰할 수 있다. 세대 정체화에서 중요한 시기가 바로 10대 말과 20대 초반이고 그때 나눈 공통의 경험이 세대의식을 형성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따라서 가족, 특히 부모 세대를 이해하는 것이 한 세대의 특성을 파악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되며, 각종 교육환경의 변화와 보다 복합적인 사회적 변동이 다시 한 세대의 이해를 좌우한다. 한국사회를 이끄는 본격 베이비부머들(1950년대 후반-1960년대 태생)3)의 부모들이 대략 1930년대에 태어난 이들이고, 한국의 소비문화를 주도한 2차 베이비부머들(1970년대 태생; 한때 한국의 X세대라 불린)의 부모들이 대략 1940년대에 태어난 이들이라는 점을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 부모들도 세대별로 꽤 상이하기 때문이다. 대졸자들만을 놓고 보자면 대충 이렇다. 1930년대 태생들은 2차 세계대전 이전의 공황시기에 태어나 한국전쟁을 겪고 1950년대에 대학을 다닌, 공부를 제대로 할 수 없었지만, 생존의 의지만큼은 충만한 사람들이다. 그래서였을까, 식민기에 교육을 받은 엘리트 세대에게 ‘촌뜨기들’이라고 손가락질 받던 그들은 4.19혁명의 주축세력이 됐다. 그러고 보니 그들의 자식들이 ‘386세대’(고교 평준화 세대), 1987년 민주화 대투쟁의 주축군이 됐다. (지금 그들의 자식들이 조기 유학 세대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반해 1940년대 태생들은 한국전쟁을 겪기는 했지만, 어린 나이였기에 대개 1920년대-1930년대 태생들처럼 큰 고생--뇌리에 트라우마가 남을만한--을 하지는 않았다. 그리고 대학에서 1960년대를 보내며 비교적 안정적인 삶을 살았다. 그들이 자식을 낳을 즈음엔 나라의 경제사정도 좋아져 처음으로 미국식 핵가족 문화가 형성됐다. 하지만 아직 여성의 사회진출이 활발하지 않아 1970년대 태생들은 서구화된 어머니를 중심으로 구성된 안락한 4-5인 가정에서 자라났다. 그래서 그 세대들은 소비문화의 코드에는 밝되 기존의 사회질서엔 잘 적응하지 못했다. 이와 달리 1950년대 태생들은 완전히 미국화된 유사-히피문화가 휩쓴 대학에서 청춘을 보냈다. 마약이 유행했고, 전통은 무시됐다. (그래서 1970년대 학번들은 의외로 전통을 잘 알지 못하는 경우가 적잖다.) 일부 77/78학번들(고교평준화 1세대)이 민족문화운동을 일으킨 것은 그러한 서구추종에 대한 반발이었다. _ 다가올 세대 간의 갈등 오늘 우리가 주목해야 하는 것은 지나간 세대들의 갈등이 아니라 다가올 세대 간의 갈등이다. 이미 한국의 기성세대 모두는, 식민세대와 4.19 세대의 갈등, 그리고 다시 기성세대가 된 4.19세대와 소위 '386세대'의 갈등을, 그리고 그 역학관계를 경험적으로 잘 이해하고 있다. 현재 한국사회는 우파와 좌파, 보수와 진보의 갈등 속에 있는 듯 뵈지만, 사실 이는 이념의 탈을 쓴 세대갈등에 가깝다. (이념이 세대를 선택했나? 세대가 이념을 선택했나?) 즉, 1945년-1950년대 중반 태생들이 오랜만에 권력을 잡아, 오늘의 한국사회를 규정하다시피 하는 한국의 본격 베이비부머들의 세대상황(Generationslage)을 무효로 돌리고자 애쓰는 꼴이다. 하지만, 좋던 싫던, 옳건 그르건, 이는 가능한 일이 아니다. 1945년-1950년대에 태어난 사람들에 대한 세간의 표현은 이렇다: “부모에게 무조건 순종했던 마지막 세대이고 아이들을 독재자로 모시는 1세대 ... 고속성장의 막차에 올라탔다가 이름 없는 간이역에 부려지는 사람들 ... 다른 길은 잘 보이지 않고, 벌어 놓은 것은 그리 많지 않다. 은퇴하기엔 너무 젊고, 도전하기엔 늙은 사람들. 선배들처럼 멋있게 살려 했는데 어느 날 갑자기 자리가 불안해졌다.” 한마디로 세대 정체화에 실패한 세대란 이야기. 386세대의 사회진출과 함께 업무 환경에 컴퓨터가 도입될 때, 잘 적응하지 못해 ‘쉰세대’라고 놀림 받았던 이들이다. 일본 식민기 근대적 교육의 혜택을 받은 전세대의 엘리트(일본어를 모국어처럼 구사하는)와 경쟁할 수도 없고, 미국식 현대 교육의 세례를 받은 이후 세대(비교적 영어에 익숙한)와도 소통하지 못한 불우한 세대다.4) 현재 정치권력이 1945년-50년대 중반 태생들의 손에 있다고는 하나, 가는 세월 막을 자 그 누구랴. 오늘의 젊은이가 내일, 나라의 주인이 된다. 그리고 다시 한 번, 한국 사회의 주도권은 386세대, 아니 486세대에게, 그러니까 지금 40대고, 80년대에 대학에 다녔고, 60년대에 태어난 이들에게 넘어가게 돼있다. 따라서 우리는 (한국에서 가장 강력한 세대정치력을 지닌) 본격 베이비부머들(1950년대 후반-1960년대 태생)의 세대상황에 이후 세대들이 어떻게 저항할 것인가 하는 점에 이목을 집중해볼 필요가 있다. 필자는 소위 ‘운동권’으로 대학 시절을 보냈고, 대학 졸업 이후엔 동성애자운동에 열정을 쏟았음에도 불구하고 386세대의 특정한 상황가치가 사회를 좌지우지하는 잣대로까지 격상되는 오늘의 현실이 개탄스럽다고 생각한다. 그러니 자연, 나는 이후 세대들의 약진과 그로 인한 세대 간 견제와 균형에 기대를 걸게 된다. 그런데 문제는 현재 온 사회가 팔푼이 같다고 타박하는 “88만원 세대”가 1945년-1950년대 중반 태생들의 자녀 세대라는 사실이다. 잠깐, ‘온 사회’라는 표현은 올바르지 않다. “88만원 세대” 담론을 이끄는 이들이 누구인가? 모두 386세대의 정치론자들 아닌가? <88만원 세대>의 저자 우석훈 씨가 (현실에 저항하기 위해) “짱돌을 들라”고 주문하자, 어느 머리 좋은 “88만원 세대” 청년은 자신의 블로그에 이렇게 적었더랬다: “지금 짱돌을 던지면 얻어맞는 것은 386세대에 치인 우리 부모 세대인데, 어떤 바보가 지금 부모에게 돌을 던지랴.” 그러니까 현재의 상황은, 한국전쟁의 최대 피해자 세대인 1950년대 태생이 겪은 질곡이 자식 세대인 “88만원 세대”에게 고스란히 유전되고 있는 꼴이다. _ 세대 유전: 88만원 세대 vs 조기 유학 세대 386세대의 상황가치가 온 사회를 관통하는 현 상황에 제동을 걸 후속세대가 마땅치 않다. 1970년대 태생들에게 소위 ‘서태지 신드롬’의 경험은 중요했겠지만, 그들은 상업적 이유에서 X세대라는 딱지를 달게 됐을 뿐, 독자적인 세대화에는 실패했다. 그들은 트렌드를 창출해내는 주요소비자층이었을 뿐, 사회의 근본적인 변화를 이끌만한 세대정체화에는 이르지 못했고, 정치적 비전의 면에서는 386세대들의 리드에 수동적으로 끌려가는 모습이다. 적어도 아직은 그렇다. 필자의 생각에 한국사회의 현 판도는 1988년 이후 태생들이 성인기에 돌입하면서 흔들리기 시작할 것 같다. 4.19세대의 자식들이 다시 아버지 세대의 낡은 비전을 갈아엎고 대격변을 일으켰듯, 1988년 이후에 태어난 이들이 새로운 문화변동을 추동할 것으로 예상된다. 오늘의 청소년에 관해 기성세대가 잘 이해하지 못하는 점이 하나 있다. 1988년 이후의 한국은 완전히 새로운 사회였으므로, 그 이후 태어난 이들이 그전 세대와 같을 리 만무하다는 것. 그런데 그들 가운데 집에 돈 좀 있고, 공부도 좀 한다 싶은 이들은 죄다 조기 유학을 나갔다. 그것이 꽤 문제적이다. 조기 유학을 경험한 세대는 세상에 예상외의 변화를 일으킬 공산이 크다. 2005년 기준으로 해외대학에 재학 중인 한국인의 수가 19만 명을 돌파했다(이 가운데 대학이나 대학원의 정규 과정을 수강하는 학생은 10만 5893명(56.4%)이고, 8만1790명(43.6%)이 어학연수 중이다.) 2000년도부터 조기 유학이 자유화됐고, 2004년 규제가 완전히 풀렸다. 2004년 한해에만 서울에서 12,317명의 초중고교생이, 경기도에서는 7,500명이 유학을 떠났다. 전국적으로 보면 2000년에 4,397명, 2001년에 7,944명, 2002년엔 1만132명이 조기 유학을 선택했고, 2006년엔 2만9511명으로 4년 만에 190%나 늘었다. 현재 고등학교 이하의 교육기관에서 공부 중인 유학생만 대략 3만 명이 넘을 것이라는 분석이 있다. 얼마 전 실시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사교육 1번지”인 서울 강남과 목동, 경기 분당 지역의 경우 초등학생과 중학생 4명 중 1명꼴로 (길고 짧은) 조기유학을 다녀왔다고 한다. 서울 강남교육청에 따르면, 2008년 관할 지역(강남·서초구) 내 51개 초등학교에서 조기 유학을 떠난 학생은 2,165명으로, 이 지역 전체 초등학생 5만3228명의 4%에 달한다. 인구통계학적으로 볼 때, 이는 문화적 변환을 일으킬만한 잠재력을 지닌 숫자다. 조기 유학자들이 한국 사회에서 변화를 일으키는 데에는 어떤 중요한 티핑 포인트가 있을 것이다. 그 변화는 어떤 모양일까? [...] 일단 조기유학을 경험한 이들은 역사 클래스에서 전혀 다른 역사를 배운다는 점, (미국 내의 대학에 진학하는 경우) 어떻게든 SAT의 (미)국사 과목에서 점수를 받아 대학에 진학한다는 점에서 상이한 역사관을 갖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조기 유학을 선택한 이들 가운데 대다수는 (어떤 이유로든) 한국으로 돌아오게 되는 법. 과연 한국 사회는 이 문화적 에이리언들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을까? 그러면 좋겠지만, 별로 그럴 것 같지 않다. 한바탕 시끄러운 재조정의 과정이 있을 것이고, 그것은 꽤 흥미로운 대치 국면을 형성할지 모른다.5) 현재 미국의 소위 ‘아이비리그’ 8개 대학에 재학 중인 한국인 유학생(대학원생 포함)의 수만 약 2천여 명에 이른다.6) 이들 엘리트가 결국 근미래 한국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을 테다. 과연 그들은 소위 ‘국내파’ 엘리트들과 조화롭게 일할 수 있을까? 자 그럼, “88만원 세대”는 조기유학세대와의 세대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을까? 1988년 이후에 태어난 세대에서 기득권층인 조기 유학 경험자들과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는 계층인 조기 유학 비경험자들 사이를 갈라 ‘피해자 의식의 연대’를 구축한다면, 유학 비자유화 세대가 (1988년 이후의) 유학 자유화 1세대를 ‘오렌지족’으로 몰아세우는 데 성공했던 것과 비슷한 일을 도모할 수도 있겠지만, 글쎄. 현재의 세대 간 대립구도를 단순화해보면, 1945년-1950년대 중반 태생들과 그들의 자녀가 되는 “88만원 세대”의 이익이 386세대와 1988년 이후 태생의 그것과 상충하는 형세다. 하지만, 정작 386의 이데올로기를 해체하는 것은 그들의 자녀 세대의 과업이 될 가능성이 높다. 미국의 경우, 베이비부머의 정치적 이상과 가치를 그들의 자녀인 Y세대7)가 보란 듯 거부하지 않았던가. 역시 이리보고 저리보아도, 한국사회는 반전으로 가득한 가족 드라마의 세계. 우리는 내일도, “다이나믹 코리아!” /// 1) 필자는 별 세대적 개성이 없는 1971년생이다. 1971년은 한국의 GNP가 북한의 그것을 처음으로 능가한 해라는 점, 그리고 한국에서 아이가 가장 많이 태어난 해라는 점에서 특별하기는 하다. 2) Mannheim, Karl (1964) "Das Problem der Generationen", in: Karl Mannheim, Wissenssoziologie, Soziologische Texte 28, Neuwied: Luchterhand (ursprünglich: Karl Mannheim, Das Problem der Generationen, Kölner Viertelsjahreshefte für Soziologie, 7.Jg, Heft 2, 1928, Berlin). 3) 구미에서 베이비부머는 종전 이후 태어난 1945-1950년대 태생을 총칭한다. 그러나 혼란한 상황의 해방 조선과 1953년 휴전협정 이후 피폐한 농업사회에 불과했던 남한에서는 본격적 베이비붐이 일지 못했다. 따라서 한국의 1950년대 태생을 베이비부머라고 부르는 데에는 어폐가 있다. 대신 필자는 1958년-1960년대 태생을 한국의 본격 베이비부머라고 규정한다. 4) 1950년대생들 가운데 유달리 아파트를 이용한 부동산 투기와 개신교회에 애정을 보인 이들이 많은 이유가, 그 두 가지가 자신들의 존재감을 드러내는 최후의 방도--개신교회를 다니면 제사를 거부해 집안 내부에서의 유교적 위계질서를 위반할 수 있고, 아파트로 이사를 다니면 자신들을 무시하는 대가족 제도의 궤도에서 어느 정도 벗어날 수 있다--였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있다. 5) 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근년의 국적법 개정을 둘러싼 흐름은 국익에 상충하는 것이다. 두뇌 유출을 막는 것처럼 국가 운영에 중요한 것은 없다. 그런데 거꾸로 장벽을 설치하는 셈이 되고 있다. 국적 및 병역 문제와 관련해 묘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6) MIT와 스탠포드. UC 버클리 등 3곳까지 포함하면 3,200명을 넘어선다. 올해 서울대 학부 입학생이 3,100여 명 가량이니, 농반진반으로 말하자면, 이제 서울대는 예전의 연세대, 혹은 고려대인 셈이다. 7) 미국에서 X세대 이후를 차지하는 Y세대는 인구통계상 1980년-1988년 태생을 일컫는다. 문화다원주의의 위계를 자연스레 체득한 첫 세대로, 다른 세대에 비해 교육 수준이 높지만, 부모 세대인 베이비부머와 달리 탈정치적인 행보를 걸었다; 이 세대의 최대 정치 자산은 환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