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테고리
이글루 파인더
Twitter
라이프로그
![]() DT 3 : 더 빨리, 더 높이, 더 힘차게 ![]() 예술가처럼 자아를 확장하는 법 ![]() 모마 하이라이트 ![]() 공예와 문화 - 2001.겨울 ![]() 이것이 현대적 미술 ![]() DT. 2 ![]() 크레이지 아트, 메이드 ... ![]() 디자인과 범죄 그리고 그... ![]() D.T. 1 ![]() 디자인 텍스트 02 ![]() 디자인 텍스트 01 최근 등록된 덧글
http://studyforexhibiti..
by Mikka_L at 03/01 두고두고볼 명문입니다. by fff at 02/26 문제는 10년 사이에 사람들.. by Mikka_L at 02/24 10년앞을 예견. by minio at 02/24 잘 보고 갑니다... by 태권브이 at 02/19 감사합니다. 딥티크(dip.. by Mikka_L at 02/07 잘 읽었습니다. 딥티크 .. by 감사 at 02/07 귀한 글 잘 읽었습니다. .. by jeudi at 02/04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by Mikka_L at 01/30 너무 좋은 글 잘읽었습니다! by ^^ at 01/29 그런데 도시에서의 단독.. by 데지코 at 01/28 건설사 직원분 말들어보니.. by ㅁㄴㅇㄹ at 01/28 미국으로선 매우 이례적인.. by 휴메 at 01/27 한국은 야생동물에 기생충.. by 엑셀리온 at 01/27 하지만 그러함에도 보수의.. by 엑셀리온 at 01/27 안녕하세요? 좋아하다가.. by Mikka_L at 01/24 새해 만복을 기원합니다. ♥ by Mikka_L at 01/24 새해복 많이 받으세요! by 뾰족한동그라미 at 01/24 안녕하세요 블로그에 드.. by 뾰족한동그라미 at 01/24 그렇군요, 상세한 설명 .. by 글피 at 01/22 최근 등록된 트랙백
[메모] 무제
by 임근준(이정우) | leftov.. {DT3: 더 빨리, 더 높이.. by noomik ..... by 770 [임근준의 20·21세기 미술.. by Sarah lee 배순훈 미술관장 by 한지니, Contemporary .. 포토로그
이전블로그
2022년 12월
2021년 03월 2021년 02월 2021년 01월 2020년 12월 2020년 11월 2020년 10월 2020년 09월 2020년 08월 2020년 07월 2020년 06월 2020년 05월 2020년 04월 2020년 03월 2020년 02월 2020년 01월 2019년 12월 2019년 11월 2019년 10월 2019년 09월 2019년 08월 2019년 07월 2019년 06월 2019년 05월 2019년 04월 2019년 03월 2019년 02월 2019년 01월 2018년 12월 2018년 11월 2018년 10월 2018년 09월 2018년 08월 2018년 07월 2018년 06월 2018년 05월 2018년 04월 2018년 03월 2018년 02월 2018년 01월 2017년 12월 2017년 11월 2017년 10월 2017년 09월 2017년 08월 2017년 07월 2017년 06월 2017년 05월 2017년 04월 2017년 03월 2017년 02월 2017년 01월 2016년 12월 2016년 11월 2016년 10월 2016년 09월 2016년 08월 2016년 07월 2016년 06월 2016년 05월 2016년 04월 2016년 03월 2016년 02월 2016년 01월 2015년 12월 2015년 11월 2015년 10월 2015년 09월 2015년 08월 2015년 07월 2015년 06월 2015년 05월 2015년 04월 2015년 03월 2015년 02월 2015년 01월 2014년 12월 2014년 11월 2014년 09월 2014년 08월 2014년 07월 2014년 06월 2014년 05월 2014년 04월 2014년 03월 2014년 02월 2014년 01월 2013년 12월 2013년 11월 2013년 10월 2013년 09월 2013년 08월 2013년 07월 2013년 06월 2013년 05월 2013년 04월 2013년 03월 2013년 02월 2013년 01월 2012년 12월 2012년 11월 2012년 10월 2012년 09월 2012년 08월 2012년 07월 2012년 06월 2012년 05월 2012년 04월 2012년 03월 2012년 02월 2012년 01월 2011년 12월 2011년 11월 2011년 10월 2011년 09월 2011년 08월 2011년 07월 2011년 06월 2011년 05월 2011년 04월 2011년 03월 2011년 02월 2011년 01월 2010년 12월 2010년 11월 2010년 10월 2010년 09월 2010년 08월 2010년 07월 2010년 06월 2010년 05월 2010년 04월 2010년 03월 2010년 02월 2010년 01월 2009년 12월 2009년 11월 2009년 10월 2009년 09월 2009년 08월 2009년 07월 2009년 06월 2009년 05월 2009년 04월 2009년 03월 2009년 02월 2009년 01월 2008년 12월 2008년 11월 2008년 10월 2008년 09월 2008년 08월 2008년 07월 2008년 06월 2008년 05월 2008년 04월 2008년 03월 2008년 02월 2008년 01월 2007년 12월 2007년 11월 2007년 10월 2007년 09월 2007년 08월 2007년 07월 2007년 06월 2007년 05월 2007년 04월 2007년 03월 2007년 02월 2007년 01월 2006년 12월 2006년 11월 2006년 10월 2006년 09월 2006년 08월 2006년 07월 2006년 06월 2006년 05월 2006년 04월 2006년 03월 2006년 02월 2006년 01월 2005년 12월 2005년 11월 2005년 10월 2005년 09월 2005년 08월 2005년 07월 2005년 06월 2005년 05월 2005년 04월 2005년 03월 2005년 02월 2005년 01월 2004년 12월 2004년 11월 2004년 10월 2004년 09월 2004년 08월 2004년 07월 2004년 06월 2004년 05월 2004년 04월 2004년 03월 2004년 02월 2004년 01월 2003년 08월 2002년 04월 2001년 01월 2000년 11월 2000년 10월 2000년 01월 1998년 09월 1997년 09월 |
2017년 01월 11일
새해 강동아트센터 아카데미에서 새로운 형식의 강의를 선뵙니다. (1월 11일 수요일 오후 2시에 개강합니다.) 귀한 자리를 마련해주셔서 고맙습니다. 일종의 자료 대방출 강의이자, 길고 짧은 것을 가려보려는 자리이기도 합니다. 여러분의 관심에 감사드립니다. ^^
신청 페이지: http://www.gangdongarts.or.kr/academy/request_view?index=336 문의: 02-440-0567, 0568 (아카데미 사무실) ------------------------------------------------- ![]() [강동아트센터 2017년 1학기 강의 계획](개정중) 주요 전시로 다시 살펴보는 2008년 이후의 한국현대미술 “2008년부터 오늘까지 국내 주요 현대미술전시를 재고찰하며 주요 의제를 총점검한다” 강사: 임근준 AKA 이정우 일시: 2017.01.11-04.05 매주 수요일 오후 2시 장소: 강동아트센터 아카데미 스튜디오#3 주요 전시의 작품 이미지 자료 등을 하나하나 살펴보며, 2008년 이후 한국현대미술계에 어떠한 변화가 일었는지, 어떠한 의제 차원의 전환이 이뤄졌는지 고찰하는, 새로운 방식의 강의 프로그램입니다. 매 강의 시간에는 각 기간에 작성된 임근준의 전시 평문과 메모 등이 함께 제공됩니다. 현대미술의 향방을 가늠하고자 하는 여러분의 많은 관심을 바랍니다. (고찰하는 전시의 목록은 진행하는 과정에서 수정될 수 있습니다. 이 점 미리 양해 구합니다.) 감사합니다. 1강(1월 11일) _ 들어가며: 2008년 이후 현대미술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을까? / 2008년의 주요 전시 다시 보기: 구동희 개인전 <합성적 체험>(아틀리에에르메스) <미나 & 사사[44] KUKJE 080307-080406>(국제갤러리) 잭슨홍 개인전 <인간을 위한 디자인>(갤러리2) SASA[44] 개인전 <오토-멜랑콜리아>(대안공간풀) 김성원 기획의 그룹전 <비-사이드> (두아트서울) 김상길 개인전 <레이어>(강남 PKM 트리니티 갤러리) 손동현 개인전 <왕>(갤러리2) 김민애 개인전 <익명풍경>(관훈갤러리) 2강(1월 18일) _ 2008년의 광주비엔날레와 부산비엔날레와 미디어시티서울 다시 보기: 가. 2008 광주비엔날레 - 제도화된 정치적 미술의 풍경 나. 2008 부산비엔날레 – 낭비를 유비하는 공회전의 풍경 3강(1월 25일) _ 2009년의 주요 전시 다시 보기: 최성민 개인전 <킨로스, 현대 타이포그래피 (1992, 2004, 2009)>(펙토리) 잭슨홍과 박미나의 2인전 <라마라마딩동>(아틀리에에르메스) 이소정 개인전 <낯선 휴일>(갤러리2) 홍승혜 개인전 <음악의 헌정>(갤러리2) 박미나 개인전 <(?_?) (=_+) (+_+) : 어떻게 된거야?>(코리아아트센터) 정금형 퍼포먼스 <일곱 가지 방법>(LIG 아트홀) 성낙희 개인전 <옮김>(갤러리2) 2009년 에르메스 재단 미술상 3인전 <박윤영, 남화연, 노재운> 4강(2월 1일) _ 2010년 광주비엔날레 <만인보> 다시 보기: 국제비엔날레의 군웅할거와 광주비엔날레: 1995-2010 5강(2월 8일) _ 2010년의 주요 전시 다시 보기: 윤정미 개인전 <핑크 & 블루 프로젝트 II>(갤러리인) 잭슨홍 개인전 <엑토플라즈마>(갤러리2) 박미나 개인전 (국제갤러리) 최슬기 개인전 <진짜?>(공간 해밀톤) 이형구 개인전 <시선 추적>(두산갤러리) (제목이 없는) 김소라 개인전(아틀리에에르메스) 박서보 개인전 <박서보>(국제갤러리 전관) <우회전략>(국제갤러리) <미래의 기억들>(삼성미술관 리움) <아시아 리얼리즘>전(덕수궁미술관) 6강(2월 15일) _ 2011년의 주요 전시 다시 보기: 김영나 개인전 <발견된 개요>(갤러리팩토리) <정금형: 휘트니스 가이드>(두산아트센터) 성낙희 개인전 <위딘(Within)>(두산갤러리) <팔방미인: 1970~80 한국의 역사적 개념미술>(경기도미술관) <스페이스 스터디>(플라토; 구 로댕갤러리의 재개관전) <박이소 – 개념의 여정>(아트선재센터) 김황 상영+낭독극 <모두를 위한 피자>(페스티벌봄) <카운트다운>(문화역서울284) 2011년 광주디자인비엔날레 <도가도비상도> <근대 일본이 본 서양>(서울대미술관 MoA) 7강(2월 22일) _ 2012년의 주요 전시 다시 보기: <홍승혜 – 광장사각>(아틀리에에르메스) 구동희 개인전 <구동희>(두산갤러리) 박미나 개인전 <회색하늘>(두산갤러리 뉴욕) 이형구 개인전 <얼굴 추적>(갤러리스케이프) 이동기 개인전 <불확실성의 정원>(갤러리2) 권오상 개인전 <권오상>(아라리오갤러리 서울 청담) 올해의 작가상 2012 4인/팀전 <김홍석, 문경원&전준호, 이수경, 임민욱>(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2012년 에르메스 재단 미술상 3인전 <구동희, 잭슨홍, 이미경>(아틀리에에르메스) <인생 사용법>(문화역서울284) <한국의 단색화>(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2012년 광주비엔날레 <라운드테이블> : 6인 공동예술감독제의 예견된 실패와 뉴오리엔탈리즘의 역사적 트라우마 포르노 8강(3월 8일) _ 2013년의 주요 전시 다시 보기: 잭슨홍 개인전 <13개의 공>(아트클럽1563) 박미나 개인전 <그레이 & 12>(국제갤러리) <이득영 사진전: 공원, 한강>(일민미술관) 제니조 개인전 <인 비트윈: 로브 로이드의 이야기>(두산갤러리) 강동주 개인전 <부도심>(OCI) 정서영 개인전 <큰 것, 작은 것, 넓적한 것의 속도>(일민미술관) 정금형 퍼포먼스 <심폐소생술연습>(문래예술공장 스튜디오M30) 이동기 개인전 <성난 얼굴로 돌아보지 마>(송원아트센터) 김구림 회고전 <잘 알지도 못하면서>(서울시립미술관) <디자인: 또 다른 언어>(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타이포잔치 2013 - 수퍼텍스트>(문화역서울 284) 올해의 작가상 2013 4인전 <공성훈, 신미경, 조해준, 함양아>(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서울관 개관전 <연결-전개> <자이트가이스트-시대정신> 외(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노 마운틴 하이 이너프>(시청각) 9강(3월 15일) _ 2014년의 주요 전시 다시 보기: <토탈 리콜>(일민미술관) <오작동 라이브러리>(서울시립미술관) <아트스펙트럼 2014>(리움) <스펙트럼 스펙트럼>(플라토) <이윤성 개인전: NU-TYPE>(메이크샵아트스페이스) <오늘의 살롱>(커먼센터) <김민애: 검은, 분홍공>(두산갤러리) <강정석: 베이포-X와 홈비디오>(인미공) <청춘과 잉여>(커먼센터) <상태참조>(교역소) <다음 문장을 읽으시오>(일민미술관) 정윤석의 포스트미디어다큐멘터리 <논픽션 다이어리>(개봉작) 박경근의 포스트미디어다큐멘터리 <철의 꿈>(개봉작) <제6회 언리미티드에디션>(이태원 복합문화공간 NEMO) <단색화의 예술>(국제갤러리) 10강(3월 22일) _ 2015년의 주요 전시 다시 보기: 남화연 개인전 <시간의 기술> 커먼센터의 <혼자 사는 법> <던전>(CC101, 공간 사일삼, 개방회로, 200/20) <두렵지만 황홀한>(하이트) <그림/그림자>(플라토) <포스트픽처스>(175) <#1-7>(727now!) 청년관을위한예술행동의 <미술관의 탄생> <피스마이너스원>(서울시립미술관) 양혜규의 개인전 <살상사상> <무브&스케일(MOVE & SCALE)>(시청각) <뉴스킨: 본뜨고 연결하기>(일민미술관) <서브컬처: 성난젊음>(서울시립미술관) <굿-즈>(세종문화회관) <제7회 언리미티드 에디션>(일민미술관) <평면탐구>(일민미술관) 11강(3월 29일) _ 2014/2016년의 광주/부산/서울의 비엔날레 다시/바로 보기: 가. 2014년 _ 국내 3대 비엔날레 유람기 : 할머니 귀신의 서울 VS 홈리스 부산 VS 불타는 광주 나. 2016년 _ 방향 상실의 K-비엔날레 : 서울, 광주, 그리고 부산에서 본 위기의 본질은? 12강(4월 5일) _ 2016년의 주요 전시 다시 보기: 2016년의 10대 문제적 개인전: 박미나 개인전 <빨주노초파남보>(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Sasa[44] 개인전 <가위 바위 보>(시청각) 김웅현 개인전 <헬 보바인과 포니> 외(웨스트웨어하우스 외) 노상호 개인전 <더 그레이트 챕북>(웨스트웨어하우스) 정금형 에르메스재단미술상 수상 기념전 <개인소장품>(아틀리에에르메스) 잭슨홍 개인전 <오토파일럿>(페리지갤러리) 돈선필 개인전 <민메이 어택: 리-리-캐스트>(시청각) 강정석 개인전 <게임 I>(두산갤러리) <7 1/2: 암호적 상상: 최선아>(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22길 15) <지우맨 / 프로젝트: 비 더 히어로>(우정국) / 스페셜 멘션: <KPS 사진전>(마포평생학습관 1층 전시실) / 2016년의 8대 문제적 기획전: <서울바벨>(서울시립미술관) <그래픽 디자인, 2005~2015, 서울>전(일민미술관) <아트스펙트럼 2016>(리움) 과천관 30주년전 <달은 차고 이지러진다>(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SeMA 골드] X: 1990년대 한국미술>(서울시립미술관) <무엇과도 바꿀수 없는_No Longer Objects>(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더스크랩>(서울시 동대문구 용두동 233-21) <퍼폼>(우정국)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