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테고리
이글루 파인더
Twitter
라이프로그
![]() DT 3 : 더 빨리, 더 높이, 더 힘차게 ![]() 예술가처럼 자아를 확장하는 법 ![]() 모마 하이라이트 ![]() 공예와 문화 - 2001.겨울 ![]() 이것이 현대적 미술 ![]() DT. 2 ![]() 크레이지 아트, 메이드 ... ![]() 디자인과 범죄 그리고 그... ![]() D.T. 1 ![]() 디자인 텍스트 02 ![]() 디자인 텍스트 01 최근 등록된 덧글
http://studyforexhibiti..
by Mikka_L at 03/01 두고두고볼 명문입니다. by fff at 02/26 문제는 10년 사이에 사람들.. by Mikka_L at 02/24 10년앞을 예견. by minio at 02/24 잘 보고 갑니다... by 태권브이 at 02/19 감사합니다. 딥티크(dip.. by Mikka_L at 02/07 잘 읽었습니다. 딥티크 .. by 감사 at 02/07 귀한 글 잘 읽었습니다. .. by jeudi at 02/04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by Mikka_L at 01/30 너무 좋은 글 잘읽었습니다! by ^^ at 01/29 그런데 도시에서의 단독.. by 데지코 at 01/28 건설사 직원분 말들어보니.. by ㅁㄴㅇㄹ at 01/28 미국으로선 매우 이례적인.. by 휴메 at 01/27 한국은 야생동물에 기생충.. by 엑셀리온 at 01/27 하지만 그러함에도 보수의.. by 엑셀리온 at 01/27 안녕하세요? 좋아하다가.. by Mikka_L at 01/24 새해 만복을 기원합니다. ♥ by Mikka_L at 01/24 새해복 많이 받으세요! by 뾰족한동그라미 at 01/24 안녕하세요 블로그에 드.. by 뾰족한동그라미 at 01/24 그렇군요, 상세한 설명 .. by 글피 at 01/22 최근 등록된 트랙백
[메모] 무제
by 임근준(이정우) | leftov.. {DT3: 더 빨리, 더 높이.. by noomik ..... by 770 [임근준의 20·21세기 미술.. by Sarah lee 배순훈 미술관장 by 한지니, Contemporary .. 포토로그
이전블로그
2022년 12월
2021년 03월 2021년 02월 2021년 01월 2020년 12월 2020년 11월 2020년 10월 2020년 09월 2020년 08월 2020년 07월 2020년 06월 2020년 05월 2020년 04월 2020년 03월 2020년 02월 2020년 01월 2019년 12월 2019년 11월 2019년 10월 2019년 09월 2019년 08월 2019년 07월 2019년 06월 2019년 05월 2019년 04월 2019년 03월 2019년 02월 2019년 01월 2018년 12월 2018년 11월 2018년 10월 2018년 09월 2018년 08월 2018년 07월 2018년 06월 2018년 05월 2018년 04월 2018년 03월 2018년 02월 2018년 01월 2017년 12월 2017년 11월 2017년 10월 2017년 09월 2017년 08월 2017년 07월 2017년 06월 2017년 05월 2017년 04월 2017년 03월 2017년 02월 2017년 01월 2016년 12월 2016년 11월 2016년 10월 2016년 09월 2016년 08월 2016년 07월 2016년 06월 2016년 05월 2016년 04월 2016년 03월 2016년 02월 2016년 01월 2015년 12월 2015년 11월 2015년 10월 2015년 09월 2015년 08월 2015년 07월 2015년 06월 2015년 05월 2015년 04월 2015년 03월 2015년 02월 2015년 01월 2014년 12월 2014년 11월 2014년 09월 2014년 08월 2014년 07월 2014년 06월 2014년 05월 2014년 04월 2014년 03월 2014년 02월 2014년 01월 2013년 12월 2013년 11월 2013년 10월 2013년 09월 2013년 08월 2013년 07월 2013년 06월 2013년 05월 2013년 04월 2013년 03월 2013년 02월 2013년 01월 2012년 12월 2012년 11월 2012년 10월 2012년 09월 2012년 08월 2012년 07월 2012년 06월 2012년 05월 2012년 04월 2012년 03월 2012년 02월 2012년 01월 2011년 12월 2011년 11월 2011년 10월 2011년 09월 2011년 08월 2011년 07월 2011년 06월 2011년 05월 2011년 04월 2011년 03월 2011년 02월 2011년 01월 2010년 12월 2010년 11월 2010년 10월 2010년 09월 2010년 08월 2010년 07월 2010년 06월 2010년 05월 2010년 04월 2010년 03월 2010년 02월 2010년 01월 2009년 12월 2009년 11월 2009년 10월 2009년 09월 2009년 08월 2009년 07월 2009년 06월 2009년 05월 2009년 04월 2009년 03월 2009년 02월 2009년 01월 2008년 12월 2008년 11월 2008년 10월 2008년 09월 2008년 08월 2008년 07월 2008년 06월 2008년 05월 2008년 04월 2008년 03월 2008년 02월 2008년 01월 2007년 12월 2007년 11월 2007년 10월 2007년 09월 2007년 08월 2007년 07월 2007년 06월 2007년 05월 2007년 04월 2007년 03월 2007년 02월 2007년 01월 2006년 12월 2006년 11월 2006년 10월 2006년 09월 2006년 08월 2006년 07월 2006년 06월 2006년 05월 2006년 04월 2006년 03월 2006년 02월 2006년 01월 2005년 12월 2005년 11월 2005년 10월 2005년 09월 2005년 08월 2005년 07월 2005년 06월 2005년 05월 2005년 04월 2005년 03월 2005년 02월 2005년 01월 2004년 12월 2004년 11월 2004년 10월 2004년 09월 2004년 08월 2004년 07월 2004년 06월 2004년 05월 2004년 04월 2004년 03월 2004년 02월 2004년 01월 2003년 08월 2002년 04월 2001년 01월 2000년 11월 2000년 10월 2000년 01월 1998년 09월 1997년 09월 |
2018년 05월 02일
![]() ![]() [강동아트센터 신규 강의안] 임근준의 이것이 현대적 미술(개정판) 강사: 임근준, 미술·디자인 이론/역사 연구자 기간: 5월 2일 - 8월 1일 매주 수요일 오후 2시 (6/6 현충일 6/13 지방선거일 휴강) 장소: 강동아트센터 아카데미 스튜디오#3 문의: 02-440-0567 수강 신청 안내: https://www.gangdongarts.or.kr/academy/request_view?index=368 강좌 프로그램 “임근준의 이것이 현대적 미술(개정판)”은, 매주 하나의 주제에 따라 현대미술의 이러저러한 면모를 살펴봅니다. 현대미술을 잘 모르는 분들도 쉽게 들으실 수 있도록 구성한 강의입니다. (2014년 강동아트센터에서 진행했던 “임근준의 이것이 현대적 미술”을 시대 변화에 맞춰 업데이트하고 재구성했습니다.) 난도가 높지 않은 대중용 강의지만, 현대미술의 대전제에서부터, 개념주의 방법론의 확산을 거쳐, 오늘의 새로운 추상 회화에 이르기까지, 현대미술사의 주요 의제를 모두 다룹니다. 일변하는 오늘의 세계에서, 현대미술은 무엇이고, 또 어떤 역할을 맡고 있을까요? 하면, 2020년대의 현대미술은 어떤 새로운 가치를 지향해야 옳을까요? 여러분의 많은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1. 현대미술은 어디에서 왔는가? (다시 보는) 현대미술의 (할)아버지 1. _폴 세잔 (다시 보는) 현대미술의 (할)아버지 2. _마르셀 뒤샹 (다시 보는) 현대조형교육의 원점 _바우하우스(와 블랙마운틴컬리지) 2. 우리 시대의 피카소 추상표현주의와 팝아트의 연결 고리 _로버트 라우센버그 컨템퍼러리 아트의 살아있는 규준 _제프 쿤스 몰락한 yBa의 늙어버린 악동 _데미안 허스트 3. 오늘의 초상 팝아트의 황제는 무엇을 포착하고자 했을까? _앤디 워홀 ‘핑크 & 블루 프로젝트’가 추적하는 성장의 패턴 _윤정미 오늘의 인륜을 감식하는 새로운 방법 _손동현 아버지에게 바치는 철-산업의 장송곡 _박경근 4. 현대미술사의 예외적 존재 색채의 마법사? _마르크 샤갈 인생은 60부터? _루이스 부르주아 뭐든지 다한 예술가? _마틴 키펜베르거 전후 미국현대미술의 컬트적 영웅 _브루스 나우먼 5. 개입의 전술 게르니카, 반전과 평화의 표상 _피카소 집과 부동산을 재료로 예술 하기 _고든 마타-클락 ‘의문의 디자인’으로 사회를 비평하는 예술가 _크시슈토프 보디츠코 세상에서 가장 작은 (잘못된) 갤러리 _롱 갤러리 6. 바탕의 재고안 큰 벽을 위한 색상들 _엘즈워스 켈리 미술과 언어의 접면에서 개념주의의 새로운 길을 찾은 선구자 _솔 르윗 바탕에서 다르게 출발하는 그림 _제니퍼 바틀렛 7. 인간 실존의 어떤 면모 ‘비현실의 영역에서’ 펼쳐진 광인의 판타지 _헨리 다저 그로테스크한 인간상의 탐구 _프랜시스 베이컨 즉물화한 인간상의 탐구 _루시언 프로이드 8. 실재계과 예술의 새로운 만남 비물질을 추구하는 추상미술의 흥행사 _이브 클랭 전복과 치유의 정치 무당 _요제프 보이스 실재와 허구를 뒤섞는 일상의 사제 _소피 칼 9. 에이즈 정치학의 유산 포르노그래피의 형식으로 탐구한 그레코-로망의 아름다움 _로버트 메이플소프 “살아있는 조각”으로 사는 영국의 괴짜 듀오 _길버트와 조지 에이즈 시대의 멜랑콜리한 신개념주의 _펠릭스 곤잘레스-토레스 10. 현대 사진과 영상(무빙 이미지)의 딜레마 화가의 시선을 따르는 새로운 사진의 창안 _데이비드 호크니 시각뇌의 사진읽기를 사진찍기로 증명하기 _김상길 코야니스카시, 균형을 잃은 삶 _고드프리 레지오와 필립 글래스 ‘마음의 생태계’를 탐구하는 영화 _구동희 11. 새로운 메타 회화의 사례 ‘독일의 팝아트’로 출발한 성찰적 사진회화 _게르하르트 리히터 가상적 상황에서 회화의 역사를 새로이 전개하다 _데이나 셔츠 좀비-포멀리즘의 대표 주자 _웨이드 가이튼 12. 21세기 추상 회화의 길 포스트-미디엄의 추상 구조를 부리는 픽셀의 디세뇨 _홍승혜 건축적 공간을 도해하는 개념의 회오리 _줄리 머레투 회화의 새로운 존재 조건을 앞세운 분사 회화 _카타리나 그로세 *강의안은 진행 과정에서 부분적으로 변경될 수 있습니다. 미리 양해 말씀을 구합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