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테고리
이글루 파인더
Twitter
라이프로그
![]() DT 3 : 더 빨리, 더 높이, 더 힘차게 ![]() 예술가처럼 자아를 확장하는 법 ![]() 모마 하이라이트 ![]() 공예와 문화 - 2001.겨울 ![]() 이것이 현대적 미술 ![]() DT. 2 ![]() 크레이지 아트, 메이드 ... ![]() 디자인과 범죄 그리고 그... ![]() D.T. 1 ![]() 디자인 텍스트 02 ![]() 디자인 텍스트 01 최근 등록된 덧글
http://studyforexhibiti..
by Mikka_L at 03/01 두고두고볼 명문입니다. by fff at 02/26 문제는 10년 사이에 사람들.. by Mikka_L at 02/24 10년앞을 예견. by minio at 02/24 잘 보고 갑니다... by 태권브이 at 02/19 감사합니다. 딥티크(dip.. by Mikka_L at 02/07 잘 읽었습니다. 딥티크 .. by 감사 at 02/07 귀한 글 잘 읽었습니다. .. by jeudi at 02/04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by Mikka_L at 01/30 너무 좋은 글 잘읽었습니다! by ^^ at 01/29 그런데 도시에서의 단독.. by 데지코 at 01/28 건설사 직원분 말들어보니.. by ㅁㄴㅇㄹ at 01/28 미국으로선 매우 이례적인.. by 휴메 at 01/27 한국은 야생동물에 기생충.. by 엑셀리온 at 01/27 하지만 그러함에도 보수의.. by 엑셀리온 at 01/27 안녕하세요? 좋아하다가.. by Mikka_L at 01/24 새해 만복을 기원합니다. ♥ by Mikka_L at 01/24 새해복 많이 받으세요! by 뾰족한동그라미 at 01/24 안녕하세요 블로그에 드.. by 뾰족한동그라미 at 01/24 그렇군요, 상세한 설명 .. by 글피 at 01/22 최근 등록된 트랙백
[메모] 무제
by 임근준(이정우) | leftov.. {DT3: 더 빨리, 더 높이.. by noomik ..... by 770 [임근준의 20·21세기 미술.. by Sarah lee 배순훈 미술관장 by 한지니, Contemporary .. 포토로그
이전블로그
2022년 12월
2021년 03월 2021년 02월 2021년 01월 2020년 12월 2020년 11월 2020년 10월 2020년 09월 2020년 08월 2020년 07월 2020년 06월 2020년 05월 2020년 04월 2020년 03월 2020년 02월 2020년 01월 2019년 12월 2019년 11월 2019년 10월 2019년 09월 2019년 08월 2019년 07월 2019년 06월 2019년 05월 2019년 04월 2019년 03월 2019년 02월 2019년 01월 2018년 12월 2018년 11월 2018년 10월 2018년 09월 2018년 08월 2018년 07월 2018년 06월 2018년 05월 2018년 04월 2018년 03월 2018년 02월 2018년 01월 2017년 12월 2017년 11월 2017년 10월 2017년 09월 2017년 08월 2017년 07월 2017년 06월 2017년 05월 2017년 04월 2017년 03월 2017년 02월 2017년 01월 2016년 12월 2016년 11월 2016년 10월 2016년 09월 2016년 08월 2016년 07월 2016년 06월 2016년 05월 2016년 04월 2016년 03월 2016년 02월 2016년 01월 2015년 12월 2015년 11월 2015년 10월 2015년 09월 2015년 08월 2015년 07월 2015년 06월 2015년 05월 2015년 04월 2015년 03월 2015년 02월 2015년 01월 2014년 12월 2014년 11월 2014년 09월 2014년 08월 2014년 07월 2014년 06월 2014년 05월 2014년 04월 2014년 03월 2014년 02월 2014년 01월 2013년 12월 2013년 11월 2013년 10월 2013년 09월 2013년 08월 2013년 07월 2013년 06월 2013년 05월 2013년 04월 2013년 03월 2013년 02월 2013년 01월 2012년 12월 2012년 11월 2012년 10월 2012년 09월 2012년 08월 2012년 07월 2012년 06월 2012년 05월 2012년 04월 2012년 03월 2012년 02월 2012년 01월 2011년 12월 2011년 11월 2011년 10월 2011년 09월 2011년 08월 2011년 07월 2011년 06월 2011년 05월 2011년 04월 2011년 03월 2011년 02월 2011년 01월 2010년 12월 2010년 11월 2010년 10월 2010년 09월 2010년 08월 2010년 07월 2010년 06월 2010년 05월 2010년 04월 2010년 03월 2010년 02월 2010년 01월 2009년 12월 2009년 11월 2009년 10월 2009년 09월 2009년 08월 2009년 07월 2009년 06월 2009년 05월 2009년 04월 2009년 03월 2009년 02월 2009년 01월 2008년 12월 2008년 11월 2008년 10월 2008년 09월 2008년 08월 2008년 07월 2008년 06월 2008년 05월 2008년 04월 2008년 03월 2008년 02월 2008년 01월 2007년 12월 2007년 11월 2007년 10월 2007년 09월 2007년 08월 2007년 07월 2007년 06월 2007년 05월 2007년 04월 2007년 03월 2007년 02월 2007년 01월 2006년 12월 2006년 11월 2006년 10월 2006년 09월 2006년 08월 2006년 07월 2006년 06월 2006년 05월 2006년 04월 2006년 03월 2006년 02월 2006년 01월 2005년 12월 2005년 11월 2005년 10월 2005년 09월 2005년 08월 2005년 07월 2005년 06월 2005년 05월 2005년 04월 2005년 03월 2005년 02월 2005년 01월 2004년 12월 2004년 11월 2004년 10월 2004년 09월 2004년 08월 2004년 07월 2004년 06월 2004년 05월 2004년 04월 2004년 03월 2004년 02월 2004년 01월 2003년 08월 2002년 04월 2001년 01월 2000년 11월 2000년 10월 2000년 01월 1998년 09월 1997년 09월 |
2020년 06월 20일
국공립미술기관 운영 중단 조치로 인해 일반 수강자를 받을 수 없게 된 모양입니다. 비공개 행사로 진행이 된다고 합니다. 신청하신 여러분께 죄송하네요. 퍽 아쉬운 일입니다. 양해를 부탁드립니다.
/ 방역 지침을 지키기 위해, 6월 20일에 시작하기로 했습니다. 여러분의 양해를 구합니다! 감사합니다! ❤ / 🌱🌈👍💦신청 기한: 5월 31일 오후 6시에 신청 마감 (큐레이터 코스 신청자에 한함.) 신청 방법: 이메일 realee@ifac.or.kr 문의: 032)760-1028 안내: http://inartplatform.kr/sub/board.php?mn=total&fn=board&md=v&zest_bn=hana_board_54&bn=hana_board_54&seq=436 *“2020 인천아트플랫폼 <이제 막 큐레이터> 프로그램” 가운데 하나지만, 누구에게나 개방된 무료 강의입니다. 즉, 8회의 제 강의는 따로 청강하실 수 있어요. 감사합니다. /// [2020년 인천아트플랫폼 강의] 한국/현대/미술의 다원적/다층적 역사: 어떻게 다시 쓸 것인가? 강사: 임근준, 미술·디자인 이론/역사 연구자 일시: 2020년 6월 13일부터 8월 1일까지 매주 토요일 오후 1시-3시 장소: 인천아트플랫폼 (지하철 1호선 인천역에서 가깝습니다.) 지도: http://naver.me/GRv96IDS 8회로 구성된 이 다이제스트 강의 프로그램은, 한국현대미술의 역사적 변환 과정을 고찰하는 가운데, 아직 채 작성되지 않은 통사로서의 한국현대미술사(와 그 주요 이슈들을)를 다룬다. 전후 모더니즘의 성립과 매체적 확산, 그리고 단색화로의 일사불란한 전환을 살펴보고, 민족/민중미술 세대의 사회-비평적 리얼리즘의 성과와 발전적 붕해/해체, 포스트-1988-서울-올림픽-대회 세대의 의사-당대(동시대)미술과 포스트-1997-외환위기 세대의 당대미술을 고찰한 뒤, 2010년대의 타임라인에 새로이 추가됐던 소위 신생공간 세대의 한국현대미술을 이야기한다. 제1강부터 6강까지가 역사적 분기점들을 타고 넘는 시간순 탐구라면, 제7강은 소위 ‘한국성’의 뿌리가 되는 고유섭의 ‘구수한 큰맛’을 기준으로 한국현대미술의 정신적/미학적 뿌리를 재고찰해보는 시간이다. 마지막 제8강에선, 지역 미술관 소장선 구축의 딜레마와 지역 미술사 연구의 중요성을 이야기하고, ‘리얼한 것(the real)’의 재평가를 통해 한국현대미술사 연구가 앞으로 다뤄야 할 주요 과제들을 정리해본다. 한국현대미술의 역사와 그 전모는, 전후 모더니즘과 사회-비평적 리얼리즘의 연이은 발흥과 대립, 그리고 그 극복 혹은 종합의 과정으로서, 보다 유기적으로 고찰할 수 있다. (어느 한쪽만이 옳았다는 식의 역사 해석은, 이데올로기적 편향에 기댄 사실 왜곡, 즉 거짓말에 불과하다. 전후 모더니즘과 사회-비평적 리얼리즘을 공히 긍정하고 그 상호 역학 관계에 주목할 때, 우리는 비로소 그 이후의 역사, 즉 당대미술의 역사와 후기당대미술의 역사도 올바르게 고찰할 수 있게 된다.) 1987/88년 이후 본격화했던 한국당대미술의 전개 과정에 있어서, 당대성(동시대성)의 요체는 무엇이었을까? 구미현대미술의 당대성과 어디까지 같고, 또 어디서부터는 달랐을까? 노태우-김영삼 정권기에 전개됐던 다각적 사회 변화와, 시각성 차원의 문화변동 등에 대응하기 위해, 소위 신세대 미술가들은 어떤 방법론을 계발했을까? 그 대응의 각 과정에서 발견되는 유형학적 특질이 있었다면? (20)00년대의 한국현대미술이, 방법론 차원에서 성취한 바가 있었다면, 그것은 무엇일까? 왜 그것은 널리 확산하지 못했을까? 2008년 세계 금융 위기 이후 혹은 포스트-컨템퍼러리 시대의 한국현대미술은 어디를 향하고 있을까? 한국현대미술의 도전은, 그 실험과 성취의 계보는, 과연 지속할 수 있을까? 2020년 현재, 코로나 판데믹으로 인해 전지구화 체제는 본격 붕괴 위기를 맞았고, 많은 이들이 세계 경제 구조와 질서의 대대적 재편을 예상하고 있다. 전대미문의 세계 위기 속에서, 근미래의 한국현대미술은 어떤 모습으로 거듭나게 될까? 이 강의 프로그램은 각각의 질문에 대한 최선의 답을 찾고 또 제시해보고자 한다. 한국현대미술을 사랑하는 여러분의 많은 관심을 부탁드린다. /// 제1강 6.25 전후 세대 미술가의 모더니즘과 자의식 : 4.19 혁명을 정점으로 삼았던 한국 앵포르멜 회화 운동의 정체는 무엇이었는가? 제2강 포스트-앵포르멜로서의 방법론적 전환과 단색화(단색조 회화)의 성립 : 박서보, 이우환, 윤형근, 김창열, 하종현, 정상화의 경우 제3강 1990년대 민족/민중미술의 해체와 그 대응논리에 대한 비평적 회고 : 포스트-민족/민중미술이라는 정체불명의 자의식은 어떤 비평적 효과를 발휘했는가? 제4강 연보로 살펴보는 민중미술운동의 기승전결 : 1969/1979년의 이중 출발을 통한 한국인의 정신성 갱신 프로젝트 제5강 한국현대미술의 세대 변환과 당대성의 획득 : 1987년의 민주화 대투쟁에서 2008년의 세계 금융 위기까지 제6강 포스트-컨템퍼러리 시대의 한국/현대/미술 : 굿-즈 2015, 스크랩, 퍼폼 2016, KPS, 차승언, 김영나, 김동희, 윤향로, 최태훈, 최하늘, 이동훈 등의 경우 제7강 ‘조선 향토색’ 혹은 ‘한국의 미’와 한국현대미술 : 고유섭의 ‘구수한 큰맛’의 세계에서 찾아낸 현대적 원형질로서의 추상 언어와 그 이후 제8강 지역 미술관 소장선의 딜레마와 지역 미술사 연구의 과제 + 보론: ‘리얼한 것’의 재평가를 통해 리맵핑해보는 한국현대미술의 역사와 그 과제들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