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의 강의 프로그램은, 구식 방법으로 회귀하기로. 연보, 특히 미술가의 인생을 되짚어나가는 인물미술사의 방식을 중심으로 구미현대미술사와 한국현대미술사를 재고찰해보기로 한다. 열전의 양식을 취하긴 싫지만, 그래도 인생을 통해 보는 미술사가 특별하기 때문에. (비고: 기관, 즉 법인의 역사 고찰도 연보의 형식으로 함께 간다.)
'"타임라인의 형식으로 제시되는 정보"를 동태로서 읽는 능력이, 전반적으로 크게 향상된 시대'라는 사실(실은 가설)을 전제했다.
하나는 상반기에, 다른 하나는 하반기에.
팩트를 체크하며 빈칸을 채워나가는 작업이기도 해서, 꽤 재밌을 것 같다.
/
[강의안(가안)] 타임라인을 타고 흐르는 서양현대미술의 역사
: 연보의 형식으로 살펴보는 혁신의 논리와 쟁점들
1. [기본연보] 모던, 포스트모던, 포스트컨템퍼러리의 미술: 시대성의 구조 변동과 의제 변환의 역학 1/2: 폴 세잔부터 카타리나 그로세까지
2. 연보로 살펴보는 폴 세잔
3. 연보로 살펴보는 오귀스트 로댕
4. 연보로 살펴보는 파블로 피카소
5. 연보로 살펴보는 바실리 칸딘스키
6. 연보로 살펴보는 모마(MoMA)
7. 연보로 살펴보는 펠렉스 페네옹 / 연보로 살펴보는 링컨 커스틴
8. 연보로 살펴보는 마르셀 뒤샹
9. 연보로 살펴보는 로버트 라우션버그
10. 연보로 살펴보는 앤디 워홀
11. 연보로 살펴보는 펠릭스 곤살레스-토레스
12. [종합해설] 모던, 포스트모던, 포스트컨템퍼러리의 미술: 시대성의 구조 변동과 의제 변환의 역학 2/2
/
[강의안(가안)] 타임라인을 타고 흐르는 한국현대미술의 역사
: 연보의 형식으로 살펴보는 혁신의 논리와 쟁점들
1. 연보로 살펴보는 한국현대미술: 1900-1977
2. 연보로 살펴보는 김환기
3. 연보로 살펴보는 이응노
4. 연보로 살펴보는 백남준
5. 연보로 살펴보는 신형상 + 민중미술
6. 연보로 살펴보는 민주화 이후의 동시대미술
7. 연보로 살펴보는 고희동과 서화협회 미술가들
8. 연보로 살펴보는 박서보 / 윤형근
9. 연보로 살펴보는 박모/박이소
10. [비교고찰] 연보로 살펴보는 일본현대미술
11. [비교고찰] 연보로 살펴보는 중국동시대미술
12. 연보로 살펴보는 국립현대미술관 + [해설] 한국현대미술의 역사는 어디로 향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