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메소드 강의를 다시 진행합니다. 이번 겨울엔 반드시 완성해서 책으로 출간해버리는 것이 목표랍니다. 여러분의 많은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
/
강좌명: 현대미술의 메소드 _ 역사적 변환과 전개의 논리
강사명: 이정우(임근준), 미술·디자인 이론/역사 연구자
일정: 2022.12.09~2023.02.24 매주 금요일 19:00-21:00
강의시간: 2시간 *줌으로 진행됩니다.
주최: 현대백화점 압구정본점 CH 1985(148기)
신청:
https://www.ehyundai.com/newCulture/CT/CT010100_V.do?stCd=210&sqCd=148&crsSqNo=41&crsCd=202018&proCustNo=P02039782문의: 02-549-4560
*앱을 이용하지 않고 온라인으로 신청하려고 하면 에러가 잦은 것 같습니다. 전화 문의를 해주시면 덜 불편하실 듯합니다. 양해를 구합니다.
WELCOME, 클래스 소개:
1. 이 강의는 현대미술의 역사를 메소드(방법론)의 계발에 주목해 되돌아보고, 주요 작업의 고찰을 통해 메소드의 변환을 (재)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삼습니다.
2. 다음의 내용을 차례로 공부합니다: 추상미술의 성립과 전후 모더니즘의 전개, 팝과 네오-팝의 발흥, 미니멀리즘의 짝패로서 등장했던 개념주의, 수집과 조사 연구에 기반을 둔 ‘과정-미술’의 실험, 사회적 실존 혹은 객체로서의 색상을 탐구하는 경향, 포스트모더니즘의 비평 방법인 전유, 포스트미디어로서 재창안된 사진(술), 제도 비평적 장소성에서 관계 특정성에 이르는 대전환, 비기념비성이라는 우회로를 통해 기적적으로 부활하게 된 현대조각, 포스트모더니즘의 붕괴 이후 대두한 새로운 ‘미술-미술’의 경향과 그 장단점.
3. 즉, 폴 세잔에서 오늘에 이르는 장구한 현대미술사를, 방법론적 전환에 주목해 일목요연하게 재구조화-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삼은, 12주차 강의 프로그램입니다.
4. 강의안은 진행 과정에서 업데이트-수정될 수 있습니다. 미리 양해를 구합니다. ///
01 추상미술의 성립
- 자연의 추상에서 탈자연의 추상으로
02 전후의 추상 (A)
- 부재의 추상에서 과정의 추상으로
03 전후의 추상 (B)
- 현상학적 현존이라는 막다른 지점
04 팝과 네오-팝
– 소비사회에 대응하는 비평적 창작
05 (미니멀리즘의 짝으로서의) 개념주의
- 언어로 조형을 유희하기
06 의사-과학적 조사 연구
- 아카이브의 충동과 데이터베이스 미학의 확산
07 (객체 지향적 실체 혹은 의제로서의) 색상
- 감성적 상징에서 비주관적 탐구의 대상으로
08 포스트모더니즘의 방법: 전유 혹은 도둑질
- 재능은 빌리고, 천재는 훔친다
09 포스트-미디어로서의 사진
- 사진술을 활용하는 다양한 현대적 방법
10 제도 비평과 장소 특정성 그리고 관계 특정성
- 미술 전시의 조건을 작품의 일부 혹은 외피로 삼기
11 현대조각의 귀환
- 비기념비성을 통한 우회와 조각가적 조각의 성립
12 포스트-컨템퍼러리 아트의 등장
- 과연 현대미술은 지속할 것인가?
이런 분들을 위한 클래스에요:
1. 현대예술에 대한 호기심이 있는 일반인
2. 미대를 나왔지만, 역사와 이론을 잘 모르겠는 경우
3. 미술품 수집을 위해 현대미술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고자 하는 경우
4. 지식의 업데이트를 원하는 신인 작가 혹은 기성 작가
/
Q. 선생님만의 수업 스킬, 노하우가 있다면 어떤 것일까요?
그런 건 없어요. 저는 조사-연구와 강의 혹은 강설에서 언제나 정도를 걷고자 합니다.
Q. 이 클래스를 듣고 나면 어떻게 활용할 수 있나요?
미술사와 주요 작가의 작업 세계를 읽는 안목을 기를 수 있습니다. 활용은 각자 알아서 합시다.
Q. SNS로 선생님과 소통하고 싶어요. 주소 공유해주세요.^^
https://www.instagram.com/crazyseoul
https://www.facebook.com/2020sSEOULKOREA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