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테고리
이글루 파인더
Twitter
라이프로그
![]() DT 3 : 더 빨리, 더 높이, 더 힘차게 ![]() 예술가처럼 자아를 확장하는 법 ![]() 모마 하이라이트 ![]() 공예와 문화 - 2001.겨울 ![]() 이것이 현대적 미술 ![]() DT. 2 ![]() 크레이지 아트, 메이드 ... ![]() 디자인과 범죄 그리고 그... ![]() D.T. 1 ![]() 디자인 텍스트 02 ![]() 디자인 텍스트 01 최근 등록된 덧글
https://blog.naver.co..
by Mikka_L at 03/19 目利き에서 파생된 것이.. by Mikka_L at 03/10 https://www.artforum... by Mikka_L at 03/01 https://www.artforum... by Mikka_L at 03/01 https://www.moma.org.. by Mikka_L at 03/01 https://www.artforum... by Mikka_L at 03/01 https://www.artforum... by Mikka_L at 03/01 구리와 구리 광산은 칠레.. by Mikka_L at 02/25 삭제된 분에게: 이름 표기.. by Mikka_L at 02/21 제가 감사합니다. ^o^ by Mikka_L at 01/21 덕분에 에이미 실먼의 인.. by dpk at 01/18 앗 수정했습니다. 수요일.. by Mikka_L at 12/28 수업 요일이 블로그와 .. by Rumi at 12/28 사태 파악도 못하고 유의.. by Mikka_L at 12/02 결론은... 그냥 망했음... by Mikka_L at 12/02 감사합니다! 화이팅! 입니다! by Mikka_L at 11/25 병행해보고자 생각하고 .. by Mikka_L at 06/03 줌zoom 활용 진행은 안.. by 꿈돌이 at 06/02 줌 강의 병행으로 결정됐.. by Mikka_L at 05/03 오프라인 강의만 진행 되.. by Nas at 05/03 최근 등록된 트랙백
[메모] 무제
by 임근준(이정우) | leftov.. {DT3: 더 빨리, 더 높이.. by noomik ..... by 770 [임근준의 20·21세기 미술.. by Sarah lee 배순훈 미술관장 by 한지니, Contemporary .. 포토로그
이전블로그
2023년 12월
2023년 04월 2023년 03월 2023년 02월 2023년 01월 2022년 12월 2022년 11월 2022년 10월 2022년 09월 2022년 08월 2022년 07월 2022년 06월 2022년 05월 2022년 04월 2022년 03월 2022년 02월 2022년 01월 2021년 12월 2021년 11월 2021년 10월 2021년 09월 2021년 08월 2021년 07월 2021년 06월 2021년 05월 2021년 04월 2021년 03월 2021년 02월 2021년 01월 2020년 12월 2020년 11월 2020년 10월 2020년 09월 2020년 08월 2020년 07월 2020년 06월 2020년 05월 2020년 04월 2020년 03월 2020년 02월 2020년 01월 2019년 12월 2019년 11월 2019년 10월 2019년 09월 2019년 08월 2019년 07월 2019년 06월 2019년 05월 2019년 04월 2019년 03월 2019년 02월 2019년 01월 2018년 12월 2018년 11월 2018년 10월 2018년 09월 2018년 08월 2018년 07월 2018년 06월 2018년 05월 2018년 04월 2018년 03월 2018년 02월 2018년 01월 2017년 12월 2017년 11월 2017년 10월 2017년 09월 2017년 08월 2017년 07월 2017년 06월 2017년 05월 2017년 04월 2017년 03월 2017년 02월 2017년 01월 2016년 12월 2016년 11월 2016년 10월 2016년 09월 2016년 08월 2016년 07월 2016년 06월 2016년 05월 2016년 04월 2016년 03월 2016년 02월 2016년 01월 2015년 12월 2015년 11월 2015년 10월 2015년 09월 2015년 08월 2015년 07월 2015년 06월 2015년 05월 2015년 04월 2015년 03월 2015년 02월 2015년 01월 2014년 12월 2014년 11월 2014년 09월 2014년 08월 2014년 07월 2014년 06월 2014년 05월 2014년 04월 2014년 03월 2014년 02월 2014년 01월 2013년 12월 2013년 11월 2013년 10월 2013년 09월 2013년 08월 2013년 07월 2013년 06월 2013년 05월 2013년 04월 2013년 03월 2013년 02월 2013년 01월 2012년 12월 2012년 11월 2012년 10월 2012년 09월 2012년 08월 2012년 07월 2012년 06월 2012년 05월 2012년 04월 2012년 03월 2012년 02월 2012년 01월 2011년 12월 2011년 11월 2011년 10월 2011년 09월 2011년 08월 2011년 07월 2011년 06월 2011년 05월 2011년 04월 2011년 03월 2011년 02월 2011년 01월 2010년 12월 2010년 11월 2010년 10월 2010년 09월 2010년 08월 2010년 07월 2010년 06월 2010년 05월 2010년 04월 2010년 03월 2010년 02월 2010년 01월 2009년 12월 2009년 11월 2009년 10월 2009년 09월 2009년 08월 2009년 07월 2009년 06월 2009년 05월 2009년 04월 2009년 03월 2009년 02월 2009년 01월 2008년 12월 2008년 11월 2008년 10월 2008년 09월 2008년 08월 2008년 07월 2008년 06월 2008년 05월 2008년 04월 2008년 03월 2008년 02월 2008년 01월 2007년 12월 2007년 11월 2007년 10월 2007년 09월 2007년 08월 2007년 07월 2007년 06월 2007년 05월 2007년 04월 2007년 03월 2007년 02월 2007년 01월 2006년 12월 2006년 11월 2006년 10월 2006년 09월 2006년 08월 2006년 07월 2006년 06월 2006년 05월 2006년 04월 2006년 03월 2006년 02월 2006년 01월 2005년 12월 2005년 11월 2005년 10월 2005년 09월 2005년 08월 2005년 07월 2005년 06월 2005년 05월 2005년 04월 2005년 03월 2005년 02월 2005년 01월 2004년 12월 2004년 11월 2004년 10월 2004년 09월 2004년 08월 2004년 07월 2004년 06월 2004년 05월 2004년 04월 2004년 03월 2004년 02월 2004년 01월 2003년 08월 2002년 04월 2001년 01월 2000년 11월 2000년 10월 2000년 01월 1998년 09월 1997년 09월 |
2019/01/01 CV (in English) _ Michael Lim (aka Chungwoo Lee, born 29 September 1971)
2018/06/24 내 삶을 추동하는 망상(꿈) 2009/07/01 이력(履歷) _ 한글 [13] ![]() 2019년 01월 01일
![]() Geun-jun Michael Lim 林勤埈 (b. 1971, Seoul, Korea) Art and Design Historian. Formerly an Assistant Curator at ArtSonje Center and Dong-A Ilbo Press Museum, and editor-in-chief of SigongArt Publications, Gong-ye-wah-Moon-hwa(Arts & Crafts magazine) and Art in Culture(contemporary art magazine), after the financial crisis of 2008 he published "Off Kilter: Notes from a Study of Contemporary Korean Artists," "SKMoMA Highlights: 350 Works from the Museum of Modern Art, Seoul, Korea," "What is Art? - From the Modern to the Post-Contemporary," and "Ego Trip; Artistically." Currently he is the temporary director of archiving and publishing project for Gallery Hyundai’s 50th anniversary, and working on new titles – "The Post-Contemporary: Twilight of Modern & Postmodern Art," "New Perspective for Designers: Post-Contemporary Issues after the Death of Postmodernism," and "The Methods of 20th and 21st Century Art." Back in the 1990’s he was known for LGBTQ/AIDS activism and vernacular queer art practices. _ Basic Information 8-1, Imun-ro 28-gil, Dongdaemun-gu Seoul, (02440) South KOREA T_ +82 10 4244 6546 F_ +82 2 964 5678 E_ crazyseoul@gmail.com W_ www.crazyseoul.com _ Short C.V. 2010-2013 BK-Researcher of Design Studies at Hongik University 1999-2013 Co-Founder, DT Network (Non-Periodical Journal of Design/Art Studies) 2006 Editor in Chief, Art in Culture (Monthly Magazine for Korean Contemporary Art) 2002-2003 Editor in Chief, SIGONGART (Art Publishing Company / Center for Art Studies) 2001-2002 Editor in Chief, Craft & Culture (Korean / English Quarterly for Post-Traditional Crafts Culture) 2001 Curator, Special Exhibition of ICSID 2001 SEOUL - The Vernacular Mirror 2000 Assistant Curator, Artsonje Center (contemporary museum) 1999 Founding Researcher / Curator, Pressium (Newspaper Museum) _ Full C.V. Education 2005 Ph.D. Program in Art Education(coursework completed),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000 M.A. in Art Theory,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996 B.F.A in Industrial Desig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Supervisor: Hyung-min Chung, Ph.D. (Columbia University), Professor of Art History, College of Fine Arts, SNU Work Experience 2010-2013 BK-Researcher of Design Studies at Hongik University 2002-2003 Editor in Chief, SIGONGART (Art Publishing Company / Center for Art Studies) 2001-2002 Editor in Chief, Craft & Culture (Korean / English Quarterly for Post-Traditional Crafts Culture) 2000 Assistant Curator, Artsonje Center (Contemporary Art Museum) 1999 Founding Researcher / Curator, Pressium (Newspaper Museum) Symposium Presentations / Special Lectures 2019 "Body as Medium and Site," Korean Disability Arts & Culture Center 2018 "On Painterly Painting," GANA ART BUSAN 2018 "Duchamp's Goods: Boîte-en-valise and Other Cases," ART BUSAN FORUM 2017 "Looking Back/Forward: LGBT/Q Aesthetics in the Era of PrEP and Legalization of Same-sex Marriage," Kissing AIDS Salon 2017 "Bauhaus and the Aftermath," Ait Institute 2017 "Korean Art and Its Contemporaneity," MoA(Museum of Art,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6 "Good Design an Minimalism," MoA(Museum of Art,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6 "LGBT/Q Art Movements and the AIDS Epidemic," SeMA(Seoul Museum of Art) 2015 "Delusional Ideas Embedded in Unrealised Projects," Young Architects Awards Forum 2015 "Art Actions in the Era of Diminished Expectations," Save the Museum _ Lecture 2013 "Murakami Takashi and his Method known as Superflat," Plateau _ Samsung Museum _ Lecture 2013 "The Contemporaneity of Korean Modern Art and Generational Shift 1987-2008," Symposium at Museum Angewandte Kunst 2013 "Historical Layers of Regionalism and Site-Specific Ideas," Kim Ok-Gil Memorial Forum 2013 "Félix González-Torres and Referential Modernity," Plateau _ Samsung Museum _ Lecture 2012 "Generational Shift in Korean Modern & Contemporary Art: 2000-2012," LEEUM 2012 "Ego Trip: Feminist Cases in Art," Gwanak-gu Office Art Center 2011 "Lee Deuk-Young: The Amateur Photographer’s Critical Perspective," Mong-in Gallery’s Academy 2010 "Do and Don'ts for Rookies," PODOPODO.net 2010 "Off Kilter: Notes from a Study of Contemporary Korean Artists," InMunSup Lectures 2010 Gyeonggi Creation Center Forum "What was wrong with International Exchange Programs in Korea?" 2009 "This is Contemporary Art," Doosan Arts Center 2009 "1990's Korean Contemporary Art," Raonnuri Lectures 2009 "Korean Contemporary Art after 1987 Civic Political Revolution," NuTeeNaMu Library 2009 "Post Medium Issues," HanWool 2.0(Student Typographers' Club) 2009 "Media Mix in the Post Medium Situation," TW(Typography Workshop) 2009 "The Generational Leap in the 90's Korean Contemporary Art," K-Auction HoYoMi Club 2009 "Art of Today 2," Doosan Arts Center 2009 "Props Art, Better than Appropriation," AAA + ART HK 09 2008 "Method for Contemporary Designers and Artists," D.T.2 Network Forum 2008 "The Korean Contemporaneity," Renai 21 2008 "Art of Today," Doosan Arts Center 2008 "Brief History of Korean Contemporary Art," HK Christie's Lectures 2008 "Carzy Art, Made in Korea," Moonji Cultural Institute - Saii 2007 "On the Critique of Interdisciplinary Arts," Arts Council Korea's Forum 2007 "Contemporary Art ABC," SeMA(Seoul Museum of Art) 2007 "The History of Korean Contemporary Art," MoA(Seoul National University Museum of Art) 2007 "Contemporary Art ABC,"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Korea 2007 "Jakson Hong v.s. Hyungkoo Lee," Soon Chun Hyang University Hospital 2006 "In Conversation With Paik Nam June," Gyeonggi Cultural Foundation(Paik Nam June Art Center)'s Symposium 2006 "Divine Comedy: A Retrospective of Bahc Yiso," Samsung Museum's Symposium on Bahc Yiso 2005 "Historical Analysis: The Notion of 工藝(Crafts)," The 3rd Cheongju International Craft Biennale's Symposium 2005 "Untitled(After Post Human)," D.T. Network Forum 2003 "Homosexuality in Art History," The 4th Academic Symposium of KAHOMA(Korean Association for History of Modern Art) *Keynote Speech and Thesis Presentation 2003 "Uses of the Crafted," The 2nd International Symposium of Cheong-ju Crafts Biennale 2002 "Understanding of New Media Interfaces," Total Museum 2001 "The Modernization of Korean Women's Body," The 9th Korean Academy of Modern Art History 2000 "Blind Love of Modernity," Plant Art Show 1999 "Sexuality Troubles in Film Studies," Dept. of Film Studies, Joong-ang University 1997 "LGBT matters now," Dept. of Film Studies, KNUA "Understanding of LGBT Rights," Women Links 1996 "The Visibility of Sexual Minorities in Korea," KPAF Seoul And etc. Curating 2010 Technical Problem: Jackson Hong X Chungwoo Lee X Geumhyung Jeong, Festival Bo:m 2002 Meena Park's Solo Show - 5=1 2001 Special Exhibition of ICSID 2001 SEOUL - The Vernacular Mirror 2000 Kim Sun-gui's Solo Show - Stock Exchanges 1999 Pressium's Opening Exhibition - The gallery of Newspaper Designing and Printing And etc. Exhibitions & Performances 2006 Ahn Eun-me Company's Please Catch Me," Goyan Aram Nuri Arts Center 2005 Ahn Eun-me Company's "Please Touch Me," LG Art Center 2004 Ahn Eun-me Company's "Please Touch Me," Changmoo Dance Festival 2005 Ahn Eun-me Company's "Over the Rainbow," Maronnier Museum's A City Story 2002 The 4th Gwang-ju Biennale's Special Exhibition for Alternative Groups - P3 1999 Ho-boo-ho-hyung, Independent Art Festival 1996 Duo Show - Dongi Lee/Chung-woo Lee, Museum-bar SAL 1995 Illustration Group Bo-ta-ree's Group Show - Must Come! 1994 Illustration Group Bo-ta-ree's Group Show - Sexy Star in Bo-ta-ree Town And etc. Awards 1999 The Winner of Young Critic's Award, The Research Center of Architectures in Seoul (Juries: Kil-hyup Jeong, Bo-gwang Suh, Min-su Kim, Pil-hoon Lee, Si-hyung Jeon) Et Cetera 2010-2016 Founding Jury of Doosan Art Awards 2015-2016 Jury of ART-UNI-ON 2015 Jury of MMCA Changdong Studio 2015 Jury of SeMA-HANA Art Critic Awards 2015 Member of Evaluation Committee of The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SFAC) 2015 Advisory Committee Member of The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SFAC) 2014-2015 Paper Examiner _ Society of Design Convergence 2014 Jury of Song Eun Fine Arts Prize 2014 Jury of New Vision Prize _ Art in Culture 2014 Jury of Art Spectrum _ LEEUM 2014 Jury of Korean Artist Project 2013 Jury of Song Eun Fine Arts Prize 2006-2013 Weekly Radio Column - "Lim Geun-jun's Contemporary Art Guide," KBS RADIO1 2010 Jury of Song Eun Fine Arts Prize 2010 Jury of Paik Nam June Art Prize 2009 Advisory Member of Collection Committee of Paik Nam June Art Center 2009 Jury of Joong Ang Fine Arts Prize 2006 Advisory Member of the 6th Gwangju Biennale 2006 Advisory Member of Hermes Korea Missulsang 2005 Advisory Member of Design Museum,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1995-200 Spokesperson of Korean Gaymen's Coaltion - Chingusai (The Felipa de Souza Awardee of 1999, IGLHRC) 1995 Co-founder of Korean LGBT Coalition for Equal Rights Founder of Seoul National University's LGBT Student Group - Mind 001 Michael_Lim_CV_2019.pdf 2018년 06월 24일
아시아인과 아시아인의 사회가, 서구의 원근법적 세계관과 그를 비판적으로 성찰해 일궈냈던 모더니즘과 다시 모더니즘을 비판-해체-재구성했던 포스트모더니즘의 얼개를 모조리 집어삼켜, 애니미즘적 토속성이나 지역주의의 억지 논리로 퇴행하는 일 없이, 20세기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얼개를 동시에 극복하며, 진일보하는 다중의 퍼스펙티브와 문화적 인터페이스를 동시에 창출해내는 망상(꿈). 내 삶을 추동하는 망상(꿈) 가운데 하나. ///
2009년 07월 01일
![]() 임근준(林勤埈) (필명: 이정우) _ 1971년 서울생 _ 미술·디자인 이론/역사 연구자 -1형: 이정우(임근준), 미술·디자인 이론/역사 연구자 1990년대 중반 LGBTQ 운동가이자 작가로 활동을 시작했고, 21세기를 앞두고 잠시 미술관 큐레이터가 됐다가 현장 평론가로 재차 직능 정체성의 변화를 겪었다. 이곳저곳에서 편집장으로 일했고, 미술·디자인 이론/역사가로서 구리(究理)에 매진해왔다. 2008년 이후 당대미술이 붕괴-해체되는 과정에서, 돌파구 창출에 기여하고자 애썼다. '통사로서의 현대 한국/아시아 미술사를 작성하는 일'을 다음 과업으로 삼고 있다. 0형: 임근준(1971~)은 1990년대 중반 LGBTQ 운동가이자 작가로 활동을 시작했고, 21세기를 앞두고 잠시 미술관 큐레이터가 됐다가 현장 평론가로 재차 직능 정체성의 변화를 겪었다. 이곳저곳에서 편집장으로 일했고, 미술·디자인 이론/역사가로서 구리(究理)에 매진해왔다. 1형: 임근준 _ 미술·디자인 이론/역사 연구자. 1995년부터 2000년까지 LGBTQ 운동가이자 현대미술가로 활동하며 한국 사회의 작은 변화를 이끌기도 했다. 『공예와 문화』, 『아트인컬처』, 한국미술연구소, 시공아트 편집장으로 일했다. 저서로는 『예술가처럼 자아를 확장하는 법』(2011), 『이것이 현대적 미술』(2009), 『크레이지 아트, 메이드 인 코리아』(2006) 등이 있다. 2008년 이후 당대미술이 붕괴-해체되는 과정에서, 돌파구 창출에 기여하고자 애썼다. '통사로서의 현대 한국/아시아 미술사를 작성하는 일'을 다음 과업으로 삼고 있다. 2형: 미술 • 디자인 이론가이자 역사연구자로, 1995년부터 2000년까지 동성애자 인권 운동가이자 현대미술가로 활동하며 한국 사회의 작은 변화를 이끌기도 했다. 『공예와 문화』, 『아트인컬처』, 한국미술연구소, 시공아트 편집장을 역임한 이력이 있으며, 대표 저서로 『예술가처럼 자아를 확장하는 법』(2011), 『이것이 현대적 미술』(2009), 『크레이지 아트, 메이드 인 코리아』(2006) 등이 있다. 2008년 이후 당대미술이 붕괴-해체되는 과정에서, 마땅한 돌파구를 찾기 위해 애쓰고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통사로서의 현대 한국/아시아 미술사를 작성하는 일’을 인생의 과업으로 삼고 있다. 3형: 1995년부터 2000년까지 LGBTQ 운동가이자 미술가로서 실험기를 보냈다. 1999년부터 2013년까지 디자인 연구자 모임인 DT 네트워크 동인으로 활동했고, 계간 공예와 문화 편집장, 한국미술연구소/시공아트 편집장, 월간 아트인컬처 편집장 등을 역임했다. ≪크레이지 아트, 메이드 인 코리아≫(2006), ≪Off Kilter: Notes from a Study of Contemporary Korean Artists≫(2007), ≪이것이 현대적 미술≫(2009), ≪여섯 빛깔 무지개≫(2015) 등이 대표 저작이고, 앞으로 ≪이것은 과연 미술인가≫(가제) ≪현대디자인은 어디로 가는가?≫(가제) ≪메소드: 방법론으로 공부하는 20・21세기 현대미술의 역사≫(가제) 등을 발간할 예정이다. 2008년 이후 당대미술이 붕괴-해체되는 과정에서, 마땅한 돌파구를 찾기 위해 애쓰고 있다. 하지만 궁극적으로는, ‘통사로서의 현대 한국/아시아 미술사를 작성하는 일’을 인생의 과업으로 삼고 있다. Michael LIM aka Geun-jun LIM aka Chungwoo LEE Michael Lim (aka Chungwoo Lee, born 29 September 1971) Art & Design Historian. Formerly LGBTQ activist, queer artist, assistant curator at ArtSonje Center and Dong-A Ilbo Press Museum, and editor-in-chief of SigongArt Publications and Art in Culture magazine, in the late naughties and early 2010’s he published "Off Kilter: Notes from a Study of Contemporary Korean Artists," "SKMoMA Highlights: 350 Works from the Museum of Modern Art, Seoul, Korea" and "What is Art? - From the Modern to the Post-Contemporary." Currently, he is working on new titles – "The Post-Contemporary: Twilight of Modern & Postmodern Art," "New Perspective for Designers: Post-Contemporary Issues after the Death of Postmodernism," and "The Methods of 20th and 21st Century Art." 이력(履歷) 임근준(林勤埈) (필명: 이정우) _ 1971년 서울생 _ 미술·디자인 이론/역사 연구자 학력: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미술교육 협동과정 박사 수료 (2005년 8월)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대학원 미술이론 과정 졸업 (2000년 2월) (학위논문: 「전통적 여성 이미지의 재해석 - 영·정조 시기 이후 개항기까지의 여성 이미지를 중심으로」, 논문심사위원장 : 정형민, 심사위원 : 김정희, 정영목)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산업디자인과 졸업 (1996년 2월) 재직: 홍익대학교 메타디자인 BK21 연구원 (2010년 12월-2013년 2월) 월간아트인컬처 편집장/편집위원 (2006년-2007년) 성강문화재단 한국미술연구소/시공아트 편집장 (2002년-2003년) (사)한국전통공예산업협회 연구소 편집장 (2001년-2002년) 아트선재센터 어시스턴트 큐레이터 (2000년) 동아일보 신문박물관 연구원 (1999년) LIM그래픽스 디자이너 (1995-1999년) 저서: <여섯 빛깔 무지개> (워크룸, 2015년) *공저 <예술가처럼 자아를 확장하는 법> (책읽는수요일, 2011년) <이것이 현대적 미술> (웅진/갤리온, 2009년) <에스케이모마 하이라이트> (스펙터 프레스, 2009년) [Off Kilter: Notes from a Study of Contemporary Korean Artists] (trans. Iris Moon, 스펙터 프레스, 2007년) <크레이지 아트, 메이드 인 코리아> (웅진/갤리온, 2006년) 외 번역: 할 포스터의 <디자인과 범죄 그리고 그에 덧붙인 혹평들>, 2인 공역 (시지락, 2006) 리차드 뷰캐넌 편집의 <디스커버링 디자인>, 한국디자인연구회 공역 (조형교육, 2002년) 큐레이팅: 정금형, 이정우, 잭슨홍의 <기술적 문제(Technical Problem)> (2010년) 박미나 개인전 <5=1> (2002년) ICSID 세계디자이너대회 특별전 <버내큘러 디자인> 기획 (2001년) <디자인 혹은 예술>전 - 디자인 미술관 외부 지명 공모 당선작 기획안 (2000년) 아트선재센터 <김순기 - 주식거래> 책임기획 (2000년) 아트선재센터 <코리아메리카코리아>전 어시스턴트 큐레이팅 (2000년) 동아일보 신문박물관 <프레시움> 인쇄 및 디자인 파트 큐레이팅 (1999년) 외 전시: 일민미술관 기획전 <그래픽 디자인, 2005–2015, 서울>전 참가 (2016년) 일민미술관 기획전 <비평의 지평>전 참가 (2009년) 광주비엔날레 P3 대안그룹 참가 (2002년) 독립예술제 <호부호형전> 참가 (1999년) <문화적 다양성의 그래픽 비트>전 초청 (1998년) 갤러리/바 살 - 이정우/이동기 2인전 (1996년) ; 퍼포먼스 <트랜실베니아에서의 파티: 금호동에 바친다> 외 학술/평론 발표: <젊은건축가상 2015> 수상자 도록 수록 평문 “지어지지 못한 건축에 임베드된 어떤 꿈” (2015년 12월 출간, 시공문화사) 청년관을위한예술행동 초청 강연/평문 발표 “청년관을 둘러싼 문제들 – 기대감소 시대의 예술행동” (2015년 1월 24일) *홍익대학교 조형관 삼성미술관 플라토 초청 강연/평문 발표 “무라카미 다카시와 수퍼플랫 방법론” (2013년 11월 8일)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프랑크푸르트 응용예술박물관 심포지움 “The Contemporaneity of Korean Modern Art and Generational Shift 1987-2008” (2013년 6월 5일) *영어/영문 발표 이화여자대학교 제12회 김옥길 기념 강좌 <건축의 지역성을 다시 생각한다> “지역성과 장소성의 역사적 층위” (2012년 10월 8일) *발표 및 좌담 삼성미술관 플라토 초청 강연/평문 발표 “펠릭스 곤잘레스-토레스와 참조적 현대성” (2012년 9월 8일) 경기창작센터 연례포럼 - 창작스튜디오 네트워크 포럼 - “한국 국제교류 사업의 문제점과 한계” 발표 (2010년 8월) AAA(아시아아트아카이브)+ART HK 09 패널디스커션: “Art + Design” - “Prop-Art, better than appropriation” 발표 (2009년 5월) D.T. 2 출간기념 D.T. 네트워크 포럼 - “포스트-미디엄의 문제” 발표 (2008년 1월)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다원예술소위원회 포럼 - “다원예술 비평은 존재하는가?” - “포스트-미디엄의 상황: 이론과 대응의 시사점” 발표 (2007년 11월) 삼성미술관 심포지엄: “탈속의 코미디: 박이소” - “한국현대미술의 동시대성과 박철호․박모․박이소의 존재” 발표 (2006년 3월) 백남준미술관 착공 기념 심포지엄: “백남준과의 대화; 제2부 백남준을 넘어서” - “백남준은 어떻게 구체음악과 플럭서스를 거쳐 비디오아티스트로 정체화됐는가?; 1959년 데뷔에서 1974년 첫 회고전까지” 발표 (2006년 5월) 백남준미술관 4차 워크숍 - “포스트-미디어의 문제들” 발표 (2007년 10월) 제3회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국제학술대회 - “변화하는 인공물의 세계에 관한 의문(The Realms of the Artificial : Korean Questions on the Changing World of Craft and Design)” 발표 (2005년 9월) D.T. 1 출간기념 D.T. 네트워크 포럼 - “서울에서 자라난 이중의 기형 서사: 잭슨홍·이형구” 발표 (2005년 4월) 제2회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국제학술대회 - “공예의 쓰임: 탈-식민주의적 관점에서 고찰함(Korean Uses of The Crafted: a Vernacular Perspective)” 발표 (2003년 10월) 제4회 현대미술사학회 학술심포지움 - “시각예술의 역사와 동성애” 기조 발표 (2003년 8월) 제9회 근대미술사학회 학술대회 - “개항기의 사진과 회화 속에 나타난 전통적 여성 이미지와 여성 주체” 발표 (2001년 10월) 외 지정 질의 및 토론 및 좌담: 대림미술관 구슬모아당구장 초청, 오민 작가와의 대담 (2015년 12월 12일) 대한민국건축문화제 젊은건축가상 수상자와의 대담 (2015년 10월 22일) 부산 조현화랑 초청, 작가 타카노 아야와의 대담 (2015년 10월 2일) 아트나우 초청 좌담: 임근준-박해천 (2015년 7월 24일) 영화 <마이페어웨딩>(감독: 장희선) GV토크 사회 (2015년 6월 6일) 부산비엔날레 제도개선위원회 공개 토론회 사회 겸 토론 (2015년 1월 10일) <좌담회> “안녕 2014, (2015 안녕?)” 진행 (2014년 12월 28일) 2014 부산비엔날레 학술행사 - 패널 디스커션 사회 및 진행 (2014년 9월 21일) 경기문화재단 생생화화 워크샵 토론 및 발표 (2013년 5월 16일) 아르코미술관 2010 상반기 전문가 성장프로그램 워크숍 (2010년) 상상마당 포럼 “'예술가들의 학력과잉, 예술교육 이대로 좋은가” (2010년) 시각예술포럼-시각예술의 발전 및 사회적 소통과 확산 (2008년) AIAS 총회 학술대회 지정질의 (2002년) 조선대학교 국제 디자인 학술 대회 지정질의 (2001년) 외 초청 강연: 압구정 현대백화점 문화센터 연강(12회), “한국/현대/미술의 도전: 1945년부터 오늘에 이르는 실험과 성취의 계보” (예정) 강동아트센터 아카데미 연강, “20・21세기 현대미술의 메소드와 그 사례” (2017년 7월 26일부터 10월 18일까지) 압구정 현대백화점 문화센터 연강(12회), “임근준의 “이것은 과연 미술인가?(왜 현대미술은 여전히 중요한가?)”” (2017년 6월 13일부터 8월 22일까지) 대구 현대백화점 문화센터 연강(6회), “임근준의 “이것은 과연 미술인가?”” (2017년 6월 2일부터 8월 18일까지) 압구정 현대백화점 문화센터 특강, “오늘의 디자인은 디자이너의 종말을 요구하는가?: 컴퓨팅 알고리즘을 통한 유기적 디자인의 대두”, 2017년 5월 30일 강동아트센터 아카데미 연강, “오늘은 어디고 또 내일은 언제인가?: 현대미술과 현대디자인의 주요 쟁점을 재고찰한다” (2017년 4월 19일부터 7월 12일까지) 강동아트센터 아카데미 연강, “주요 전시로 다시 살펴보는 2008년 이후의 한국현대미술” (2017년 1월 11일부터 4월 5일까지) 압구정 현대백화점 문화센터 연강(12회), “오늘의 미술이 말하는 법: 열쇳말로 살펴보는 현대미술문법” (2016년 9월 7일부터 11월 30일까지) 강동아트센터 아카데미 연강, “임근준의 “이것은 과연 미술인가?”” (2016년 8월 24일부터 11월 16일까지) 압구정 현대백화점 문화센터 연강(12회), “동시대미술, 그 미적 성취의 기록: 당대성의 발현에서 좀비-모던의 오늘에 이르기까지” (2016년 6월 1일부터 8월 24일까지) 강동아트센터 아카데미 연강, “임근준의 20·21세기 현대미술 걸작선 2/2: 게르하르트 리히터의 DB 미술에서 2010년대의 좀비-모더니즘까지” (2016년 5월 25일부터 8월 10일까지) 강동아트센터 아카데미 연강, “임근준의 20·21세기 현대미술 걸작선 1/2: 현대미술의 아버지 폴 세잔에서 개념주의의 창시자 솔 르윗까지” (2016년 2월 17일부터 5월 11일까지) 압구정 현대백화점 문화센터 연강(12회), “에고 트립-예술가처럼 자아를 확장하는 법” (2016년 3월 2일부터 5월 18일까지) 판교 현대백화점 문화센터 연강(12회), “에고 트립-예술가처럼 자아를 확장하는 법” (2016년 3월 7일부터 5월 23일까지) 사단법인 한국국가기록연구원 연강(5회), “임근준이 강설하는, 현대미술과 아카이브의 충동” (2016년 1월 19일부터 3월 1일까지) 압구정 현대백화점 문화센터 연강(12회), “임근준의 20·21세기 현대미술 걸작선: 게르하르트 리히터의 DB 미술에서 2010년대의 좀비-모더니즘까지” (2015년 12월 2일부터 2016년 2월 24일까지) 판교 현대백화점 문화센터 연강(12회), “임근준의 20·21세기 현대미술 걸작선: 게르하르트 리히터의 DB 미술에서 2010년대의 좀비-모더니즘까지” (2015년 12월 7일부터 2016년 2월 29일까지) 사비나미술관 특강, “2010년대 현대미술의 새로운 의제를 이끄는 문제작가 5인” (2016년 1월 5일) 사비나미술관 특강, “작가 P에게 부치는 편지: 2015년의 한국청년미술을 되돌아보며” (2015년 12월 23일) 무역센터 현대백화점 문화센터 특강, "2010년대 현대미술의 새로운 의제를 이끄는 문제작가 5인" (2015년 11월 30일) 판교 현대백화점 문화센터 특강, "2010년대 현대미술의 새로운 의제를 이끄는 문제작가 5인" (2015년 11월 25일) 영남대학교박물관 특강 “2010년대 현대미술의 새로운 의제를 이끄는 문제작가 7인: 줄리 머레투, 데이나 슈츠, 다이애나 몰잔, 카라리나 그로세, 데이비드 얼트메이드, 토바 아워백, 웨이드 가이튼” (2015년 11월 19일) 영남대학교박물관 특강 “모더니즘 미술과 장소성의 구현: 바넷 뉴먼, 칼 안드레, 월터 드 마리아, 리처드 세라” (2015년 11월 5일) 강동아트센터 아카데미 연강, “동시대미술, 그 미적 성취의 기록: 백남준에서 오늘의 새로운 추상미술까지” 12회 (2015년 9월 2일-11월 18일) 서울대학교미술관 MoA 특강 “모더니즘 미술의 공공(公共)적 장소성 _ 바넷 뉴먼에서 리처드 세라까지” (2015년 7월 2일) 강동아트센터 아카데미 연강, “예술가의 자아 확장법” 12회 (2015년 6월 3일-8월 19일) 서울대학교미술관 MoA-ACP 특강 “2010년대의 현대미술: 당대성의 붕괴와 새로운 모색” (2015년 4월 29일) 한성대학교 특강 “한국현대미술의 당대성과 세대변환” (2015년 4월 2일) 강동아트센터 아카데미 연강, “오늘이 미술이 말하는 법” 12회 (2015년 3월 4일-5월 20일) 영동일고등학교 특강 “전유의 정치학 _ 현대미술과 대중문화의 조우” (2014년 12월 26일) 영남대학교 특강 “당대적 한국화의 세 가지 사례: 손동현, 이소정, 이은실” (2014년 12월 10일)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특강 “오늘의 미술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제도 비평과 장소 특정성” (2014년 2월 3일) 강동아트센터 아카데미 연강, “이것이 현대적 미술” 12회 (2014년 12월 2일-2015년 2월 24일) 서울사진축제 시민강좌 특강 “도시 공간 변화의 기록과 성찰: 황학동 프로젝트의 회고” (2014년 11월 15일)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특강 “(현대)미술과 (현대)건축의 어떤 원격 조응 장소성의 (실종) 문제” (2014년 11월 8일) 새건축사협의회 특강 “예술가의 자아 확장법: 역사 희롱” (2014년 10월 21일) 양주장욱진미술관 명사특강 “이것이 현대적 미술이다!” 4회 (2014년 10월 8일, 15일, 22일, 29일) 문화역서울284 CA컨퍼런스 “디자인과 예술의 혼성” (2014년 9월 27일) LIG문화예술 아카데미 특강 “오늘의 미술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제도 비평과 장소 특정성” (2014년 9월 25일) 방송작가협회 초청 창조력 확장강좌 _ “말장난 - 언어로 조형을 유희하기 2” (2014년 9월 14일) LIG문화예술 아카데미 특강 “오늘의 미술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수집과 조사연구” (2014년 8월 28일) 광주시립미술관 상록인문학강좌 특강 “현대미술과 전유의 정치학” (2014년 8월 27일) 일민미술관 특강 “6.25 전후 세대 미술가의 모더니즘과 자의식” (2014년 8월 23일) 방송작가협회 초청 창조력 확장강좌 _ “말장난 - 언어로 조형을 유희하기 1” (2014년 8월 16일) 대구문화재단 특강 “큐레이터와 평론가의 다양한 (현대적) 노릇: 하랄트 제만에서 니콜라 부리오까지” (2014년 8월 14일) 인천박물관 문화교실 특강 “한국당대미술과 세대변환” (2014년 8월 6일) 옵시스아트 비평워크샵 강의 “조사·연구에 기반을 둔 미술 평론” (2014년 7월 11일) 종로도서관 2014 인문독서아카데미 특강 “또 다른 시선, 미술로 보는 세상” 5회 (2014년 7월 10일-8월 7일) 3355 아르코 다락 안은미 워크샵 특강 “벗은 남자의 양물 과시 VS 벗은 여자의 음문 과시” (2014년 7월 9일) KBS 수원 인재개발원 특강 “미디어 환경의 변화와 새로운 시각성” (2014년 7월 2일) 광주아시아예술극장 안은미컴퍼니 인문학워크샵 “미술가의 몸: 에고의 성전을 부리는 예술적 방법: (2014년 6월 18일) 서울대미술관 MoA-ACP 특강 “이것은 미술이 아니다 _ 리크리트 티라와니트와 티노 세갈의 경우” (2014년 5월 28일) 홍익대학교박물관 특강 “국제비엔날레의 군웅할거와 광주비엔날레” (2014년 5월 20일) 국민대 특강 “현대미술과 대중문화의 조우” (2014년 5월 13일) <두산아트스쿨> 내일을 향한 답문 2. - “한국의 현대미술가에게 묻고 듣는다” 11회(구동희, 정수진, 권오상, 공성훈, 안규철, 박미나, 이수경, 김상길, 김소라, 안은미, 이윤성-김화현-진챙총) (2014년 4월 5일-6월 21일) 의정부과학도서관 특강 “이것이 현대적 미술: 일상의 고고학” (2014년 3월 22일) 정림재단 초청 특강 <포럼앤포럼> “당대성의 흥망: 한국현대미술계의 경우” (2014년 2월 26일) 인하대학교 감염내과 초청 특강 “에이즈 위기 시대의 현대미술과 펠릭스 곤잘레스-토레스” (2014년 2월 13일) 서울시인재개발원 특강 “예술가처럼 자아를 확장하는 법” (2014년 1월 27일)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 청소년 “현대미술이 대중문화를 다루는 법” (2013년 11월 9일) 에이트인스티튜트 특강 “제프 쿤스의 사례로 공부하는 현대미술 감상법” (2013년 11월 12일) 에이트인스티튜트 특강 “여성 예술가의 자아 확장 오노 요코에서 루이스 부르주아까지” (2013년 11월 5일) 경기창작센터 특강 “당대미술의 위기” (2013년 10월 25일) 미술경영연구소 특강 “디자인과 미술의 혼성, 그리고 그 소결” (2013년 10월 10일) 와우북페스티벌 특강 <정용실 시리즈> “기대감소의 시대를 맞은 현대미술의 변화” (2013년 10월 3일) 서울옥션 특강 “기대감소의 시대를 맞은 현대미술 당대성의 붕괴와 참조적 현대성, 그리고 지표가 되는 작가 열아홉” (2013년 9월 25일) 아트스페이스휴 특강 “미술과 건축의 어떤 원격 조응 장소성의 (실종)” (2013년 9월 7일) <두산아트스쿨> 내일을 향한 답문 1. - “한국의 현대미술가에게 묻고 듣는다” 10회(최정화, 이동기, 홍승혜, 조습, 잭슨홍, 박찬경, 정서영, 이형구, Sasa<44>, 슬기와 민) (2013년 7월 27일-10월 19일) 토탈미술관 특강 “현대미술방법론: 오늘의 미술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5회 (2013년 9월 4일-11월 13일) 국립현대미술관 고양스튜디오 특강 “미술가의 글쓰기” (2013년 6월 28일) 국립현대미술관 특강 “1990년대 이후의 한국현대미술” (2013년 6월 21일) 국립현대미술관 청소년 특강 “기대감소 시대의 현대미술과 주요 작가“ (2013년 6월 1일) 삼성미술관 리움 아트스펙트럼 연계 강연 “한국 현대미술의 세대 변환: 2000-2012년” (2012년 7월 19일) 관악구청 초청 여성주간 기념 강연 “여성 예술가의 자아 확장법” (2012년 7월 4일) 몽인 아카데미 콜렉터 스쿨 초청 강연: “이득영의 사진에 관한 사실 몇 가지” (2011년) <두산아트스쿨> 임근준의 이것이 현대적 미술 2/2(총8회) (2010년) 국립현대미술관 초청 특강: “한국현대미술은 대중문화를 어떻게 다뤘는가? - 신구상 회화의 등장 이후 오늘까지; 1979-2010” (2010년) 국립현대미술관 제5기 도슨트 양성프로그램 초청 특강: “비기념비를 세우는 현대적 방법” (2010년)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졸업전 초청 특강 (2010년) 서울대미술관 특강: 오노 요코 (2010년) 에이트인스티튜트 초청 특강: “전유를 넘어서” (2010년) 아르코미술관 2010 상반기 전문가 성장프로그램 워크숍 특강(2회) (2010년) 아시아프 특강: “예술가의 자아 확장법” (2010년) 아시아프 특강: “비기념비적인 것” (2010년) K-옥션 특강 “이것이 현대적 미술” (2010년) 에이트인스티튜트 초청 특강: “한국현대미술은 어떻게 당대성을 획득했는가” (2010년) 한국 애보트 초청 특강: “LGBT와 현대미술 그리고 에이즈 시대” (2010년) 보다 초청 특강: “포스트-미디엄의 문제” (2010년) 안그라픽스 초청 특강: “프랍스 아트: 미적 매시업의 방법론” (2010년) 인터알리아 초청 특강: “포스트 미디어의 문제들” (2010년) 스페이스해밀톤+포도포도 초청 특강: “프랍스 아트 선언문” (2010년) 스페이스해밀톤+포도포도 초청 특강: “대학 졸업을 앞둔 예비 작가에게” (2010년) 감염내과 전문의 모임 HIV 배움터 초청 강의: “동성애자와 에이즈 위기 그리고 현대미술의 대응” (2010년) 인문숲 초청 특강: <현대미술 - 그 미적 성취의 기록: 전후 거장에서 21세기 신예까지>(총8회) (2010년) <두산아트스쿨> 임근준의 이것이 현대적 미술 1/2(총8회) (2009년-2010년) 토지주택박물관 박물관대학 초청 특강: “1987년 이후 한국의 현대미술” (2009년) 경기도미술관 초청 특강: “현대미술에 있어 공공성의 문제” (2009년) 라온누리 문화 예술 특강 (2009년) 느티나무도서관 초청 특강 (2009년) 한울 9.0(디자인 대학 한글꼴/타이포그라피 연구 동아리 연합) 특강 (2009년) 타이포그래피 공방 tw 특강 (2009년) 서울대미술관 특강: 최정화 (2009년) K옥션 호요미 초청 특강 (2009년)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학부 석박사과정 초청 특강: 1. “상징형식으로서의 인터페이스” 2. “포스트 미디엄의 문제” / 3. “조사 연구 기반의 작업 방식: 미나&Sasa<44>의 사례” / 4. “당대 디자인의 두 유형: 잭슨홍과 슬기&민의 사례” (총4회) (2009년) <두산아트스쿨> 임근준의 이것이 오늘의 미술 2. (총12회) (2008년-2009년) ‘독서대학 르네21’ 초청 특강 (2008년) <두산아트스쿨> 임근준의 이것이 오늘의 미술 1. (총12회) (2008년) 홍콩 크리스티스 초청 특강 (2008년) ‘문지문화원 사이’의 토요문화기획 (총13회) (2007년-2008년) 서울시립미술관 교육프로그램 (연강, 2007년) 서울대학교미술관 MoA 현대문화예술강좌 (연강, 2007년) 순천향 대학교 의대 세미나 특강 (2007년) 작품으로 이해하는 현대미술(국립현대미술관 교육프로그램) (2007년) [...] 계원조형예술전문대학 현대미술특수연구과정 초청 특강 (2003년) 토탈미술관 기획 특강 (2002년) 공장미술제 특별초청강연 - “눈 먼 사랑” (2000년) 중앙대학교 대학원 영화이론과 동계 특강 (1999년)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상이론과 특강 (1997년) 한국여성민우회 여성의 집 초청 강연 (1997년) 일본 도쿄게이레즈비언국제영화제 초청 강연 및 토론 (1996년) 민예총 문화강좌 “21세기 문화사전” 특강 (1996년) 외 대학 출강: 건국대학교 대학원 시각디자인특론 (2017년 2학기) 경희대학교 대학원 동시대미술과현장1 (2017년 2학기)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현대미술사2 (2017년 2학기) 중앙대학교 대학원 현대미술평론 강사 (2017년 1학기) 서울대학교 아시아미술의이해 강사 (2017년 1학기) 중앙대학교 대학원 조형예술특강 강사 (2016년 2학기)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미술비평사 강사 (2016년 2학기) 서울대학교 아시아미술의이해 강사 (2016년 1학기) 중앙대학교 대학원 한국근현대미술론 강사 (2016년 1학기)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한국근현대미술비평사례 강사 (2016년 1학기) 중앙대학교 대학원 현대미술비평 및 분석 강사 (2015년 2학기)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현대미학 강사 (2015년 2학기)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미술이론세미나1 강사 (2015년 1학기) 중앙대학교 대학원 현대미술연구 (2015년 1학기)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한국미술사학특강2 강사 (2015년 1학기) 서울대학교 아시아미술의이해 강사 (2015년 1학기) 중앙대학교 대학원 현대미술비평및분석 강사 (2014년 2학기)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미술비평사 강사 (2014년 2학기) 서울대학교 대학원 한국미술비평세미나 강사 (2014년 2학기)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미술이론세미나 강사 (2014년 1학기)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현대회화론 강사 (2014년 1학기) 서울대학교 아시아미술의이해 강사 (2014년 1학기)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현대미술론 강사 (2013년 2학기) 서울대학교 대학원 한국미술비평세미나 강사 (2013년 2학기)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미술이론세미나 강사 (2013년 1학기) 서울대학교 아시아미술의이해 강사 (2013년 1학기) 서울대학교 대학원 작품연구 강사 (2012년 10월22일/ 10월29일) 시립대학교 도시와디자인 강사 (2012년 2학기) 시립대학교 창조적디자인리서치 강사 (2012년 1학기) 홍익대학교 디자인사 강사 (2012년 1학기) 시립대학교 도시와디자인 강사 (2011년 2학기) 홍익대학교 대학원 디자인스튜디오 강사 (2011년 2학기) 시립대학교 창조적디자인리서치 강사 (2011년 1학기) 홍익대학교 디자인사 강사 (2011년 1학기) 계원디자인예술대학 디자이너를 위한 미술사 강사 (2010년 2학기) 서울시립대학교 시각디자인과 도시와 디자인 강사 (2010년 2학기) 서울시립대학교 창조적 디자인 리서치 강사 (2010년 1학기) 국민대학교 디자인론 강사 (2010년 1학기) 서울대학교 대학원 작품발표연구 강사 (2010년 1학기 중 4주) 홍익대학교 대학원 시각디자인특론 강사 (2009년 2학기) 서울대학교 대학원 현대미술현장연구 강사 (2009년 2학기) 서울시립대학교 시각디자인과 디자인사 강사 (2008년-2009년) SADI(삼성디자인학교) 시각디자인과 디자인사 시간교수 (2008년-2009년 1학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현장비평 II 강사 (2007년 2학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현장비평 I 강사 (2007년 1학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현장비평 강사 (2006년 2학기)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현대미술론 강사 (2006년 1학기) SADI(삼성디자인학교) 시각디자인과 디자인사 시간교수 (2001년-2003년)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도예학과 도자공예연구 (2003년 1학기) 계원종합예술대학교 매체미술과 도시환경연구 I (2002년 1학기) 계원종합예술대학교 사진예술과 현대미술입문 I 강사 (2001년 1학기) 계원종합예술대학교 매체미술과 현대미술입문 I 강사 (2001년 1학기)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과 현대디자인론 강사 (2001년 1학기) 외 심사/평가 활동: 두산연강예술상 심사위원 (2010년-2016년) ART-UNI-ON 심사위원 및 멘토 (2015년-현재) 2016년 창동레지던시 국내 입주 작가 선정 추천위원 (2015년) 서울시립미술관 SeMA-하나 평론상 심사위원 (2015년) 서울문화재단 '예술창작지원-시각예술' 현장평가 위원 (2015년) 서울문화재단 예술지원사업(시각) 체계개편 자문위원 (2015년 11월) 디자인융복합학회 논문 심사 (2015년 6월) 제14회 송은미술대상 심사위원 (2014년 12월) 아트인컬처 2014 뉴비전 심사위원 (2014년 11월) 삼성미술관 2014 아트스펙트럼 추천-심사위원 (2014년 4월) 2014 코리언아트프로젝트(KAP) 심사위원 (2014년 4월) 송은미술대상 본선 심사위원 추천 (2014년 3월) 제13회 송은미술대상 예선 심사위원 (2014년 1월) 2014 디자인융복합학회 심사위원 위촉 (2014년 2월) 서울문화재단 예술창작지원사업 심사 (2014년 2월) 경기문화재단 전문예술 창작·발표 지원사업 시각예술분야 심사위원 (2014년 2월) 서울문화재단 '예술창작지원-시각예술' 현장평가 위원 (2014년) 2015년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운영위원 (2014년) 2013 퍼블릭아트 선정작가 심사위원 (2013년 1월) 국립현대미술관 창동스튜디오 지역연계 프로젝트 작가 심사 (2013년 1월) 미디어시티서울 평가위원회 평가위원 (2012년 12월) 아트인컬처 2012 뉴비전 심사위원 (2012년 11월) 국립현대미술관 올해의 작가 추천위원 (2012년 11월) 계원예술대학교 아트앤플레이군 최우수작/우수작 선정 심사 (2012년 11월) 국립현대미술관 고양스튜디오 입주작가 선정심사위원 (2012년 10월)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미술관 퍼블릭아트오픈콜 심사위원 (2012년 10월) 서울시립미술관 SIA Media Art Awards 심사위원 (2012년 9월) 일현미술관 트래블그랜트 2012 최종심사 (2012년 8월) 을지재단 을지대학교 조형물 심사 (2012년 7월) 국립현대미술관 작품 수집 제안권자 위촉 (2012년 5월) 경기문화재단 전문예술 창작·발표 지원사업 시각예술분야 심사위원 (2012년 2월) 서울문화재단 홍은예술창작센터 입주 예술가 심사 (2011년 11월) 일현미술관 트래블그랜트 2011 최종심사 (2011년 8월) 아트인컬처 2010 뉴비전 심사위원 (2010년 11월) 백남준아트센터 소장품 수집 실무위원 (2010년 6월) 제10회 송은미술대상 예선 심사위원 (2009년 12월) 제1회 백남준국제예술상 선정위원 (2009년 10월) 2009년 상상마당 서교육십 작가 추천 (2009년 3월) 2009년 중앙미술대전 심사위원 (2009년 1월) 2009년 아트인컬처 동방의 요괴들 공모전 심사위원 (2009년 1월) 2008년 동아미술제 전시기획공모 심사위원 (2008년 6월) 백남준아트센터 MI 선정위원 (2007년) 계원조형예술대학 졸업우수작품 심사위원 (2007년 11월) 2007년 동아미술제 전시기획공모 심사위원 (2007년 6월) 에르메스미술상 작가추천위원 (2007년) 2006년 제6회 광주비엔날레 운영자문위원 (2006년) 문화관광부 디자인 미술관 평가위원 (2003년) 외 연재: 세종문화회관 월간지 <문화공간> 연재 “<이것은 과연 미술인가? ” (2015년-현재) 디자인 정글 연재 “오늘-1919: 현대디자인의 역추적 - “디자인은 우리에게 무엇이었는가?” (2015-현재) 퍼블릭아트 연재 “임근준의 20·21세기 미술 걸작선” (2012년-현재) 조선일보 “내일의 미술가” 연재 (2012년) 한겨레 21 연재 “임근준의 20·21세기 미술 걸작선” (2010년-2011년) 월간 <슈어> 연재 (2010년) 월간 <워커힐> 연재 (2010년) 상상마당 <브뤼트> 연재 (2009년-2011년) 월간 <두산> 연재 (2009년-2012년) 한국일보 연재 “이것이 오늘의 미술!” (2007년-2008년) [...] 컬티즌의 웹컬럼에 비평 연재 (2000년-2001년) 인티즌 폴리티카에 컬럼 연재 (1999년-2000년) 외 기타: 인천문화재단 무지개다리사업 팟캐스트 방송 제작 20회 (2014년) KBS 제1라디오 문화산책 “용감한 그들 당돌한 예술” 고정 출연 (2006년-2012년) 현실비평연구소 건축비평상 수상 (1999년) (심사위원: 정길협, 서보광, 김민수, 이필훈, 전시형) <야후! 스타일> 창간호 특별지면 연출/편집 (2000년) ![]() ![]()
|